논문 상세보기

보호자의 견해를 중심으로 한 복지용구 개선점에 대한 질적 연구 KCI 등재

A Qualitative Study on Improvement of Assistive Device for Elderly People With Long-Term Care Insurance Focused on Caregiver’s Perspectiv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416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복지용구 사용자의 보호자들을 대상으로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실시하여 복지용구 품목 및 서비스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복지용구를 2년 이상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보호자들 5명을 대상으로, 반 구조화된 전화인터 뷰를 실시하였다. 전화 인터뷰는 2회 실시되었고 인터뷰 후 추가적인 질문이나 내용확인은 전화 통화나 이메일로 하였다. 인터뷰 한 모든 내용은 전사한 후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론에 따라 분석되었다.
결과 : 인터뷰 내용은 18개의 의미단위, 9개의 하위구성요소 그리고 구성요소 5개로 정리하였다. 복지용구 사용자의 보호자들은 복지용구 품목에 대한 개선점으로 사용자 질환 및 특성을 고려한 복지용구, 다양 한 옵션기능이 내제된 복지용구, 고령친화용품 기반의 복지용구 그리고 보호자의 부담을 덜 수 있는 복 지용구에 대한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복지용구와 관련된 서비스에서는 복지용구의 선택과 사용방법에 대 한 훈련을 담당하는 전문가 복지용구 전문가와 복지용구 사용에 대한 지속적인 사후관리의 필요성을 언 급하였다.
결론 : 본 연구는 복지용구의 사용과 전달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보호자의 견해를 살펴 복지용구와 관련한 개선방안을 사회적 환경의 시선에서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가 추후 재가 복지서비스 제도개선에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추후에는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사용자 및 보호자들의 요구도를 바탕으로 한 복지용구의 품목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ggest improvement of assistive device and service related assistive device for elderly people with long-term care insurance through phenomenological study.
Methods: Data were collected in semi-structured telephone interviews with 5 caregiver of elderly who have used assistive device at least 2 years. Transcripts were analysed according to a Giorg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ology.
Results: The interview contents was organized into 18 meaning units, 9 sub-components and 5 components. Caregiver presented need for assistive device considering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user’s disease: embedding variable option function: aging-friendly assistive device and assistive device reducing caregiver’s burden. With regard to service related assistive device, they suggested the need for the experts in charge of selection: training on usage to assistive device: continuity of follow-up service related assistive device.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is study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presented that improvement on assistive device and service related assistive device in terms of social context effecting use of assistive device.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 evidence for improvement on assistive device for elderly with long-term care insurance. Also, will be need to develop assistive device considering needs of user and caregiver.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1. 현상학적 연구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3. 자료 분석
    4. 연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Ⅲ. 연구 결과
    1. 복지용구에 대한 개선사항 및 요구도
    2. 복지용구와 관련된 서비스에 대한 개선사항및 요구도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
  • 우지희(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작업치료학과) | Woo, Ji-Hee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