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녹색 경영에 대한 기업 내부의 촉진 동인 KCI 등재

Internal Drivers Affecting the Implementation of Green Managemen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423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200원
인적자원관리연구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Korean Academy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초록

환경 오염과 지구 온난화의 위협이 구체적으로 모습을 드러내는 가운데 사회 전반적으로 녹색 경영의 중요성이 과거 어느 때보다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현실 흐름을 반영하여 녹색 경영을 실행하는 기업들이 최근 들어 점점 증가하고 있다. 녹색 경영에 관한 기존 연구들에서는 녹색 경영의 의의와 중요성, 녹색 경영의 성과, 그리고 녹색 경영에 대한 영향 요인에 관하여 다루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녹색 경영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 내부의 촉진 동인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66개 중소 기업에 대한 통계 분석 결과, 외부 연계, R&D 역량, 그리고 조직 문화 모두 기업의 녹색 경영 실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엇보다도, 독립 변수들 가운데 조직 문화의 영향이 가장 두드러지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녹색 경영 요소들 간의 관계를 주로 살펴본 기존 연구들과 달리, 녹색 경영 실행에 대한 기업 본원적 요소의 영향에 관하여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본 논문은 의의가 적지 않다. 향후 연구에서는 더욱 다양한 기업 본원적 요소의 영향에 관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dangers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global warming are emerging in detail. As a result, the importance of green management in society as a whole is greater than ever before. Reflecting this trend of reality, more and more companies are implementing green management. Existing studies on green management have dealt with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green management, the performance of green management, and the factors affecting green management of a firm. In this paper, we looked at the affecting drivers on green management. The statistical analysis of 66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showed that external links, R&D capabilities, and organizational culture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green management practices of enterprises. Most of all,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culture was found to be most prominent among independent variables. Unlike previous studies, which mainly looked at the relationship between green management elements like the impact of green product development on green manufacturing tactic, this paper is of considerable significance in that it looked at the impact of the fundamental element of a firm on green management implementation. Future studies will need to look at the effects of more diverse firm elements.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 연구 및 가설 도출
    1. 녹색 경영
    2. 녹색 경영의 동인
    3. 연구 가설 도출
Ⅲ. 연구 방법
    1. 설문 조사
    2. 변수 측정
Ⅳ. 분석 결과
    1.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
    2. 상관 관계 분석
    3. 회귀 분석
Ⅴ. 결론 및 시사점
    1. 연구 요약
    2. 공헌, 한계, 그리고 시사점
참 고 문 헌
저자
  • 권기환(상명대학교 글로벌경영학과)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