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How can Employees Cope When They Perceive an Effort-Reward Imbalance in the Organization? KCI 등재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423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200원
인적자원관리연구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Korean Academy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초록

이전의 스트레스 및 대처 문헌은 효과적인 스트레스 대처 전략이 개인의 복지에 대한 스트레스의 부정적인 영향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대처가 조직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는 노력-보상 불균형이 직원의 잡 크래프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이 관계에서 직원의 지각이 고용가능성과 조직몰입이 조절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노력-보상 불균형과 반생산적 과업행동 간 관계를 잡 크래프팅이 매개하는지 알아보고였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한국에 종사하는 203명의 직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회귀분석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력-보상 불균형이 높을수록 잡 크래프팅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노력-보상 불균형과 구조적 직무자원을 증가시키는 행동, 사회적 직무자원을 증가시키는 행동, 그리고 도전적인 직무요구를 증가시키는 행동에 정 (+)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런데, 노력-보상 불균형과 방해되는 직무요구를 감소시키는 행동에 관계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과도위임과 사회적 직무자원을 증가시키는 행동, 도전적인 직무요구를 증가시키는 행동에 정 (+)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노력-보상 불균형과 잡 크래프팅 간의 정적 관계는 지각이 고용가능성이 낮을 때보다 높을 때 더 강하게 나타났다. 셋째, 노력-보상 불균형과 잡 크래프팅 간의 정적 관계는 조직몰입이 낮을 때보다 높을 때 더 강하게 나타났다. 넷째, 잡 크래프팅은 노력-보상 불균형과 반생산적 과업행동 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해당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들을 토대로 연구의 의의 및 한계 점,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 등을 통합적으로 논의하였다.

Previous stress and coping literatures suggests that effective stress coping strategy, will not only decrease the negative impact of stress on individuals well-being but coping can be beneficial for the organization as well. This study examines the role of job crafting as a form of stress coping strategy when employees perceive an effort-reward imbalance in the organization. In addition, the moderating roles of perceived external employability and organization commitment on the effort reward imbalance/job crafting relationship were examined. Finally, this research also examined job crafting as a mediator between perceive effort-reward imbalance and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Analysis of 203 working individuals from South Korea was conducted for this research.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perceived effort-reward imbalance has a positive effect on employee's job crafting behaviors. Namely, increasing structural job resources, increasing social job resources and increasing challenging demands.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effort-reward imbalance and decreasing hindering job demands were negatively insignificant. Secondly, perceived external employability and organization commitment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effort-reward imbalance and job craf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ffort-reward imbalance and job crafting is stronger when employee's perceived external employability and organization commitment is high than low. Lastly, job crafting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effort-reward imbalance and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limitation of the study and research direction was also suggested.

목차
Ⅰ. Introduction
Ⅱ. Research Background andHypotheses
    1. Job Crafting
    2. Perceived External Employability and OrganizationCommitment as Moderators
    3. Job Crafting as a Mediator
Ⅲ. Research Method
    1. Research Model
    2. Data Collection and Method
    3. Respondent Demographics
Ⅳ. Results
    1.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2. Hypothesis Validation
Ⅴ. Conclusion
    1. Discussion
    2. Implications
    3.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References
저자
  • Harris Deonna(동아대학교 대학원)
  • Cha Yun Suk(동아대학교 경영학과)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