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가족경영자가 연구개발투자에 미치는 영향 - 사외이사 초과선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KCI 등재

The Effect of Family CEO on R&D Investment -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Outside Director System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423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600원
인적자원관리연구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Korean Academy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초록

한국 기업은 1997년 외환위기 이후로 사외이사제도가 법제화되었다. 이는 지배구조의 개선이 시급하다는 공감대에서 소위 ‘global standard’를 따르는 것이라는 논리가 적용된 결과이다. 그러나, 사외이사제도는 소유와 경영이 분리된 상황을 전제하고, 최고경영자를 이기적 기회주의자로 가정하는 대리인이론에 근거한 대표적인 내부통제메커니즘이다. 한국 기업과 같이 소유와 경영이 철저하게 분리되지 않은 상황과 획일적으로 최고경영자가 이기적이고 기회주의적이라는 무리한 가정에 근거한 대리인이론의 처방이 한국 기업들에게 기대한 효과를 가질 것인지에 대한 의문이 본 연구의 출발점이다. 대리인이론에 따르면, 가족경영자(family CEO)의 경우에는 소유권이 일정 부분 확보된다는 점에서 주주와의 이해관계상충이 완화되기 때문에, 대리인문제를 적게 발생시킬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한국에는 대주주집단으로서의 지배주주일가가 존재하고, 가족구성원이 최고경영자를 맡고 있는 가족경영자 기업이 일반적으로 관찰되는 기업 형태이다. 또한 지배주주일가와 가족관계에 있는 가족경영자를 이기적 기회주의자로 바라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이에 대한 보완적인 시각을 제공할 수 있는 이론이 stewardship이론이다. stewardship이론에서는 이타적이고 자아실현을 추구하며, 조직의 성공을 우선시하고 조직과 본인을 일치화하는 steward로서의 최고경영자를 제시한다. 가족경영자는 기업을 자손에게 물려주고자 하는 장기적인 시각에서 기업의 생존을 중요시하고, 기업과 정서적으로 강력하게 연결되어 일체감을 가지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결국, 대리인이론이나 stewardship이론에 따르면 가족경영자가 전문경영자에 비해 장기적인 시각을 가지고 기업경영을 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한편, 한국 기업에 법제화된 사외이사제도를 살펴보면, 먼저 대리인이론의 측면에서는 소유권이 기대되어 이해관계상충이 완화된 가족경영자에게 감시메커니즘인 사외이사제도를 함께 실행하면, 내부통제메커니즘 간의 상호보완적인 속성으로 인해 사외이사제도가 정(+)의 조절효과를 가질 것으로 제시한다. 그러나, stewardship이론은 steward인 최고경영자에게 대리인이론에 근거한 내부통제메커니즘의 실행은 최고경영자로 하여금 좌절감과 배신감을 가지게 하여 장기적 시각을 버리고 근시안적인 의사결정을 내리게 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사외이사제도의 부(-)의 조절효과를 제시하고 있다. 사외이사제도가 안정적으로 운영되기 시작한 2002년부터 2006년 간 국내 상장 제조기업의 panel 자료를 대상으로 실증한 결과, 가족경영자인 경우 장기적 고위험 투자인 연구개발투자를 유의하게 많이 하였고, 사외이사제도의 조절효과는 부(-)의 방향으로 유의하게 확인되어, 한국에서의 가족경영자는 steward인 최고경영자로 바라볼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In Korea, the outside director system has been enacted after financial crisis in 1997. This legislation was the result of social consensus followed by so-called ‘global standard’. However, the outside director system is based on agency theory that assumes the separation of ownership and management of firms and that CEOs are selfish and opportunistic. This research starts from the question if the prescription of agency theory can work in Korean firms where ownership and management is no thoroughly separated. Moreover, all CEOs can not be selfish and opportunistic especially in Korea where family CEOs who have blood tie with controlling shareholders are prevalent. Stewardship theory assumes that CEOs have higher level of needs such as altruism and self-actualization, identify themselves with their firms, and reflect their success on firms’ success. This kind of CEOs are steward CEOs. The family CEOs are typical steward CEOs in that they identify themselves with their firms. First,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positive effect of family CEO on R&D investment which is long-term risky investment. This positive effect of family CEOs is derived from both agency and stewardship theories.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outside director system is examined. Competing hypotheses are established: positive moderating effect from agency theory and negative moderating effect from stewardship theory. The empirical result presents that the effect of family CEOs on R&D investment is significantly positive and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outside director system is significantly negative. It means that there cannot be a universe and ‘global standard’ type of corporate governance structure and that the internal control mechanisms based on agency theory should be carefully adopted considering each countries’ unique characteristic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대리이론과 stewardship이론에서의 가족 경영자와 연구개발투자
    2. 대리인이론에서의 사외이사제도 
    3. stewardship이론에서의 사외이사제도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변수의 측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토의
참 고 문 헌
저자
  • 남윤성(동아대학교) | NAM YOONS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