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우리나라 밭 경작지에 출현하는 식물상 특성 KCI 등재

Floristic features of upland fields in South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448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400원
한국환경생물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초록

밭 경작지는 다른 유형의 경작지보다 다양한 작물이 재배되고 있으며, 이모작 등 영농활동에 의한 교란 정도가 상대적으로 크며 건조한 환경조건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밭 경작지에 출현하는 식물종의 종조성 및 생활형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식물상 조사는 전국을 대상으로 36개 지역에서 2015년 6월과 8월 두 시기에 수행되었다. 그 결과, 우리나라 밭 경작지에 출현하는 관속식물은 100과 322속 483종 9아종 37변종 1품종 2잡종으로 총 532분 류군으로 조사되었다. 과별 분포현황은 국화과가 가장 많은 75분류군을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벼과 68분류군, 콩과 34분류군, 마디풀과 21분류군, 장미과 19분류군, 백합과 17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종별 출현빈도는 깨풀과 쑥이 100%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환삼덩굴, 속속이풀, 망초, 개망초, 왕고들빼기, 닭의장풀, 바랭이, 돌피, 금방동사니, 괭이밥, 쇠비름, 명아주, 개비름, 콩, 주름잎, 왕바랭이 등이 높게 나타났다. 우리나라 논 경작지에 출현한 식물의 생활형 조성은 일년생식물-단립식물-중력산포형-직립형 (Th- R5-D4-e)으로 나타났다. 희귀식물로는 주목, 목련, 할미밀망, 쥐방울덩굴, 벼룩아재비, 개지치, 애기담배풀, 두메부추, 물잔디 등 1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생태계교란 식물은 환삼덩굴, 애기수영, 가시박, 돼지풀, 단풍잎돼지풀, 서양금혼초, 가시상추, 양미역취, 미국쑥부쟁이 등 9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24과 68속 97종 1변종으로 총 98분류 군이 확인되었고, 도시화지수는 30.5%, 귀화율은 18.4%를 나타냈다.

Upland fields are characterized by dry environments, a high degree of disturbance by farming practices such as double-cropping, and a high diversity of crops compared to other field types. This study focused on the floristic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upland fields in South Korea. Flora surveys were conducted in 36 areas in nine provinces at two times (June and August) in 2015. The results showed that the vascular plants in the upland fields in South Korea included 532 taxa, containing 100 families, 322 genera, 483 species, nine subspecies, 37 varieties, one form, and two hybrids. Among the 100 families, Asteraceae was the most diverse in species (75 taxa), followed by Poaceae (68 taxa), Fabaceae (34 taxa), Polygonaceae (21 taxa), Rosaceae (19 taxa), and Liliaceae (17 taxa). Based on the occurrence frequency of each species, Acalypha australis L. (100%), and Artemisia indica Willd. (100%) were the highest, followed by Humulus scandens (Lour.) Merr., Rorippa palustris (L.) Besser, Conyza canadensis (L.) Cronquist, Erigeron annuus (L.) Pers., Lactuca indica L., Commelina communis L., Digitaria ciliaris (Retz.) Koeler, Echinochloa crus-galli (L.) P.Beauv., Cyperus microiria Steud., and Oxalis corniculata L. The biological type of upland fields in South Korea was determined to be Th-R5-D4-e type. Rare plants were found in 11 taxa: Taxus cuspidata Siebold & Zucc, Magnolia kobus DC, Clematis trichotoma Nakai, Aristolochina contorta Bunge, Buxus sinica (Rehder & E.H.Wilson) M.Cheng var. koreana (Nakai ex Rehder) Q.L.Wang, Melothria japonica (Thunb.) Maxim, Mitrasacme indica Wight, Lithospermum arvense L., Carpesium rosulatum Miq., Allium senescens L., and Pseudoraphis sordida (Thwaites) S.M.Phillips & S.L.Chen. Ninety-seven taxa contained naturalized plants composed of 24 families, 68 genera, 97 species, one variety, and one form. The urbanization and naturalization indices were 30.5% and 18.4%, respectively.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1. 식물상
    2. 생활형
    3. 특정식물
적 요
REFERENCES
저자
  • 김명현(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후변화평가과) | Myung-Hyun Kim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DA) Corresponding author
  • 어진우(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후변화평가과) | Jinu Eo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DA)
  • 김민경(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후변화평가과) | Min-Kyeong Kim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DA)
  • 오영주((주)미래환경생태연구소) | Young-Ju Oh (Institute for Future Environmental Ecology Co., Lt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