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수생태계 종적 연결성 평가를 위한 국내외 연구 현황 및 어류기반 종적 연속성 평가모델 적용성 분석 KCI 등재

International and domestic research trends in longitudinal connectivity evaluations of aquatic ecosystems, and the applicability analysis of fish-based model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449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900원
한국환경생물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초록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하천에 중소형 보 (Weir) 및 각종 구조물 (어도) 건설이 건설되면서 수생태계의 단절 및 훼손이 보고되고 있고, 이들은 수생태계 건강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면서 수생태계의 종적 연결성 평가가 중요한 이슈가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수생태 건강성 확보를 위한 일환으로 수생태계 종적 연결성 평가를 위한 국내외 연구 현황, 선진국의 어류 기반 종적 연속성 평가모델 개발 및 현장 적용성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에서 하천의 종적 연결성 현황 및 구조적 문제점, 어류 모 니터링 기법 및 현황, 종적 측면의 어류 이동성 단절 및 종 다양성 영향에 대한 현황분석을 하였다. 또한, 물리적 서식지 적합도 평가, 환경생태유량 평가 및 어류 서식처 모의를 위한 생태-수리모델링의 기술적 한계 등에 대한 연구 현황 을 분석하였다. 또한, 어류 유영력 기반 이동성 분석 및 행위자 기반(ABM) 어류행동예측 프로그램개발에 대한 현재 기술의 한계성도 제시하였다. 전 세계에서 적용된 하천 종적 연결성 평가모델 및 기법 (프로토콜)에 대해 문헌, 자료 및 다양한 모델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결과에 따르면, 첫째, 하천 구조물과 어류 유영속도, 점프력 등의 지표 기반 평가 기법, 둘째, 직접 현장 어류조사 및 모니터링 기법, 셋째, 하천지형학적 접근방식 평가 기법 및 구조물 기반 DB 구축 기법 및 넷째, 하천 연계성 지수 평가법 등으로 분석되었다. 종적 연결성 평가모델의 조사방법론 및 적용성 평가 결과에 따르면, 유럽권의 ICE 모델 (Information sur la Continuite Ecologique)과 ICF 모델 (Index de Connectivitat Fluvial)을 우리나라에 수정보완하여 적용할 경우 적절할 것으로 평가되었다.

Recently, stream longitudinal connectivity has been a topic of investigation due to the frequent disconnections and the impact of aquatic ecosystems caused by the construction of small and medium-sized weirs and various artificial structures (fishways) directly influencing the stream ecosystem health. In this study, the international and domestic research trends of the longitudinal connectivity in aquatic ecosystems were evaluated and the applicability of fish-based longitudinal connectivity models used in developed countries was analyzed. For these purposes, we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 on longitudinal connectivity and structural problems, fish monitoring methodology, monitoring approaches, longitudinal disconnectivity of fish movement, and biodiversity. In addition, we analyzed the current status and some technical limitations of physical habitat suitability evaluation, ecology-based water flow, ecohydrological modeling for fish habitat connectivity, and the s/w program development for agent-based model. Numerous references, data, and various reports were examined to identify worldwide longitudinal stream connectivity evaluation models in European and non-European countries. The international approaches to longitudinal connectivity evaluations were categorized into five phases including 1) an approach integrating fish community and artificial structure surveys (two types input variables), 2) field monitoring approaches, 3) a stream geomorphological approach, 4) an artificial structure-based DB analytical approach, and 5) other approaches. the overall evaluation of survey methodologies and applicability for longitudinal stream connectivity suggested that the ICE model (Information sur la Continuite Ecologique) and the ICF model (Index de Connectivitat Fluvial), widely used in European countries, were appropriate for the application of longitudinal connectivity evaluations in Korean streams.

목차
Abstract
서 론
    1. 우리나라에서 하천의 종적 연결성 현황 및 구조적문제점
    2. 종적 연결성 평가를 어류 모니터링 기법 및 현황
    3. 종적 연결성 확보를 위한 물리적 서식지 적합도 및환경생태 유지유량
    4. 종적 연결성 평가를 위한 기존 기술의 한계성 및프로그램 개발의 시급성
    5. 환경 선진국에서의 종적 연결성 평가 관리 체계 및평가모델
    6. 국내 기존 기술의 한계성 및 향후 연구되어야할 핵심내용
적 요
REFERENCES
저자
  • 김지윤(충남대학교 생명시스템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Ji Yoon Kim (Department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김재구((주) 엔솔파트너스) | Jai-Gu Kim (Environment Solution Partners)
  • 배대열(청록환경생태연구소) | Dae-Yeul Bae (Chungrok Environmental Ecosystem Research Institute)
  • 김혜진(충남대학교 생명시스템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Hye-Jin Kim (Department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김정은(충남대학교 생명시스템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Jeong-Eun Kim (Department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이호성(충남대학교 생명시스템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Ho-Seong Lee (Department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임준영(충남대학교 생명시스템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Jun-Young Lim (Department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안광국(충남대학교 생명시스템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Kwang-Guk An (Department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