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인공지반에서 식재지반의 구성이 장미와 수국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 of substrate composition on the growth of roses and hydrangeas in artificial groun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449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환경생물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초록

본 연구는 아파트 조경공간에 다층식재기법을 적용하기 위한 기초단계 연구로서, 교목중심의 단층구조 식재지역에 관목이 건강하게 생육할 수 있는 최적의 식재지반을 선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2019년 5월부터 10월까지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시험포장에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식재지반은 멀칭재, 원예용 상토, 바텀애시, 현장 토를 활용해 8가지 처리구 6반복 조성하였다. 실험식물은 아파트 조경용 관목으로 선호도가 높은 장미 (Rosa hybrid ‘Barkarole’)와 수국 (Hydrangea macrophylla ‘Nikko Blue’) 으로 선정하였다. 토양재료의 화학성은 농촌진흥청 토양 화학분석 기준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처리구 간 유의성은 SAS7.1을 활용해 Two-way AN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식재지반별 장미와 수국의 초장, 분지수, 엽장, 엽폭, 피복 면적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장미는 “원예용 상토 20 cm” 조합과 “멀칭 3 cm, 원예용 상토 20 cm, 바텀애쉬 10 cm”의 조합에서 생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p<0.05). 그중 “원예용 상토 20 cm”에서는 초장 102.2±5.8 cm, 분지수 5.5±0.6개, 엽장 10.9±1.0 cm, 엽폭 6.2±0.5 cm, 피복면적 4077.1±416.6 cm2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p<0.05). 수국은 “멀칭 3 cm, 원예용 상토 20 cm”, “원예용 상토 20 cm” 조합과 “원예용 상토 20 cm, 바텀애쉬 10 cm”의 조합에 서 생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초장 43.6±2.1 cm, 분지수 4.9±0.8개, 엽장 7.2±0.5 cm, 엽폭 4.3±0.3 cm, 피복면적 344.5±43.2 cm2인 “원예용 상토 20 cm”의 조합에서 생장이 우수하였다. 본 연구는 통해 아파트 다층식재를 위해서는 최소 20 cm 이상 경운한 뒤에 육성토양층에 원예용상토를 충전하여 식재할 것은 제안하였다. 이러한 기준은 향후 아파트 화단 리모델링 사업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lect a suitable planting substrate for multilayered plantings in an apartment landscape space.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between May to October 2019, at the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Planting substrate was prepared in six repetitions of eight treatment zones using mulching material, horticultural soil, bottom ash, and subgrade soil. Rosa hybrid ‘Barkarole’ and Hydrangea macrophylla ‘Nikko Blue’ were selected as the experimental plants. We investigated the monthly variation and effect of the substrate type on the growth (plant height, number of branches, leaf length, leaf width, and plant area of the substrates) of the plants. In R. hybrid ‘Barkarole’ grown in 20 cm of horticultural soil and 10 cm of bottom ash, the plants were taller (102.2±5.8 cm), had more branches (5.5±0.6 each), longer leaves (10.9±1.0 cm), and greater leaf width (6.2±0.5 cm) and plant area (4077.1±416.6 cm2) (p<0.05). H. macrophylla ‘Nikko Blue’ showed the best growth from 3 cm of mulching, 20 cm of horticultural topsoil, and 10 cm of bottom ash, which resulted in taller plants (43.6±2.1 cm), more branches (4.9±0.8 each), longer leaves (7.2±0.5 cm), and greater leaf width (4.3±0.3 cm) and plant area (344.5±43.2 cm2).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propose an optimal planting substrate for shrubs for multi-layered landscaping.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법
    1. 실험식물
    2. 식재지반 특성
    3. 분석방법
결과 및 고찰
    1. 식재지반별 장미의 생육특성
    2. 식재지반별 수국의 생육특성
    3. 고찰
적 요
REFERENCES
저자
  • 유수진(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과) | Soojin You (Urban Agricultural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한승원(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과) | Seung Won Han (Urban Agricultural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Corresponding author
  • 김광진(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과) | Kwang Jin Kim (Urban Agricultural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정나라(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과) | Na Ra Jeong (Urban Agricultural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윤지혜(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과) | Ji Hye Yun (Urban Agricultural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