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20-30대 중국인의 여드름 인식 및 여드름 관리 방법 분석 KCI 등재

Analysis of Acne Awarness and way to acne care of Chinese People on 20s and 30s with Acne Ski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454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구 한국유화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KSAST))
초록

본 연구는 여드름을 가지고 있는 중국인 20-30대를 대상으로 여드름에 대한 인식과 관리 방법을 비교 연구하고자 하였다. 설문지는 총 600부 배포하여 회수된 설문지 560부 중 27부를 제외한 533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연령에 따른 중국인의 여드름 발생원인 인식, 관리인식, 악화요인 인식 차이 분석 결과 ‘관리인식’ t=3.380, ‘악화요인 인식’ t=2.314로 나타나 연령에 따라 여드름에 대한 인식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30대보다 20대가 여드름에 대한 인식 정도가 더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중국인의 연령에 따른 여드름에 대한 인식과 관리 방법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시대의 변화에 따른 여드름 관리 인식과 행태의 변화를 파악하고 한국인과 중국인의 여드름 인식에 대한 차이 비교, 추후 여드름 피부의 효과적인 관리 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cne recognition and management methods for those in their 20s and 30s who live in China and have acne. A total of 6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533 copi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excluding 27 of the 560 collected questionnair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the cause of acne, management perception, and exacerbation factor of Chinese people according to age showed'management perception' t=3.380, and deteriorating factor recognition' t=2.314, indicating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perception of acne according to age. It was found that the recognition degree of acne is higher in the 20s than in the 30s. Through this study,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perceptions and management methods of acne according to the age of Chinese people, the changes in acne management perception and behavior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times were identified, and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Chinese perceptions of acne, and later acne skin It is believed that it can be provided as a basic data for finding an effective management method.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2. 이론적 배경
    2.1. 여드름 개념
    2.2. 여드름 인식
    2.3. 여드름 관리
3. 연구 방법
    3.1. 연구 대상 및 기간
    3.2. 자료 분석 및 측정 도구
4. 결과 및 고찰
    4.1. 일반적 특성
    4.2. 중국인의 여드름 인식
    4.3. 중국인의 여드름 발생 원인 인식
    4.4. 중국인의 여드름 관리 인식
    4.5. 중국인의 여드름 악화 요인 인식
    4.6. 중국인의 여드름의 발생원인, 관리인식,악화 요인 인식 간의 상관관계
    4.7. 연령에 따른 중국인의 여드름 발생원인인식 차이
    4.8. 연령에 따른 중국인의 여드름 관리 인식 차이
    4.9. 연령에 따른 중국인의 여드름 악화 요인인식 차이
    4.10. 연령에 따른 중국인의 여드름 관리 방법차이
    4.11. 연령에 따른 중국인의 여드름 발생원인인식, 관리인식, 악화요인 인식 차이
5. 결 론
References
저자
  • 이정희(광주여자대학교 미용과학과) | Jung-Hee Lee (Dept. of Beauty Science, Graduate School, Kwangju Women's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문소희(광주여자대학교 미용과학과) | So-hee Moon (Dept. of Beauty Science, Graduate School, Kwangju Women's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