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onsidering the Locus of Film Music: Diegesis, Non-Diegesis, and In-between Spaces
본 논문은 골만(Claudia Gorbman)의 내재적· 외재적 음악의 분류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이러한 이분법적 공간을 넘어서는 공유공간과 사이공간인 앰비다이제시스(ambidiegesis)와 메 타다이제시스(metadiegesis)에 대한 개념적 검토와 정의를 시도하였다. 기술발전에 힘입어 영화에서 음악의 처리 방식이 다원화되고 복잡해짐에 따라 홀브룩, 스틸웰, 스미스와 같은 학자들은 음악의 위치성을 설명하기 위한 수단으로 앰비다이제시스와 메타다이제시스는 물론, ‘환상적인 갭’(fantastic gap), ‘애매한 상태’ 등을 제시하였으나 이들 간의 합의는 도출되지 않았다. 필자는 음 악의 위치성에 대한 최근의 논의들을 검토하고 이들에 대한 비교, 종합, 적용을 시도하였으며, 장면의 변화에 따라 음악의 위치성 변화를 역동적으로 판단해야 함을 주장하였다. 몇몇 사례로 든 영화의 장면들에서 시시각각 변하는 음악의 위치성 변화에 대한 역동적 인지가 해석에 끼칠 수 있는 영향과 여기서 나오는 풍부한 의미에 대해 탐구하였다.
This paper critically examines Claudia Gorbman’s categorization of diegetic and non-diegetic music, and tries to define concepts of ambi-diegetic and meta-diegetic, in-between spaces beyond her dichotomous perspective. As the technical development led to music’s diverse and delicate handling in film, film music scholars such as Morris Holbrook, Robynn Stilwell, and Jeff Smith defined and expanded the terms and concepts of ambi-diegesis, meta-diegesis, fantastic gap and ambiguous status. However, there was no consensus between them. I have reviewed recent studies of film music in terms of music’s locus according to whether sonic origin is either in or out of the narrative and asserted that the analyst should judge a shift of locus in film music according by taking temporal and dynamic changes in film into consideration. I selected several scenes from films, and explored possible interpretations and affluent emergent meanings that dynamic recognition of music’s shift of locus could influence 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