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숭고와 역숭고 - 음악이론과 대중음악담론의 접점과 차이 연구 - KCI 등재

The Sublime and the Inverted Sublime : Convergence and Divergence between Music Theory and Popular Music Discours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460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400원
음악이론포럼 (Music Theory Forum)
연세대학교 음악연구소 (Yonsei University Institute of Music Research)
초록

이 연구는 숭고와 숭고의 역개념인 역숭고 사이의 역동적 상호작용을 탐구하여 음악이론과 대중음악담론 사이의 관계를 새롭게 이해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 연구는 음악적 숭고 개념을 다루는 음악이론과 대중음악담론의 최근 연구를 분석하고, 현재 음악학 담론의 관점에서 칸트의 숭고 개념 과장 파울의 역숭고 개념을 재해석함으로써 음악적 숭고와 역숭고의 이론적, 이념적 성격을 파악 한다. 나아가 음악분석을 숭고와 역숭고의 체험으로 재개념화하여 설명하는 과정을 통해 현재의 음악분석의 문제적 측면에 대해 재고하는 한편, 음악이론과 대중음악담론이 음악 자체라는 문제적 대상을 다루는 방식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두담론의 접점과 차이를 구체화하고자 한다.

This paper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 theory and popular music discourse through the study of the dynamic interactions between the sublime and its inverse, the inverted sublime. Analyzing recent works on musical sublime in music theory and popular music studies, and reinterpreting Kant’s notion of the sublime and Jean Paul’s notion of the inverted sublime from the perspective of current musicological discourse, the paper seeks to understand the theoretical and ideological characteristics of musical sublime and inverted sublime. It then reconsiders and critiques music analysis as an experience of sublime or inverted sublime, and delves into the ways in which music theory and popular music discourse deal with the problematic concept of the music itself.

목차
1. 머리말
2. 음악학적 숭고/역숭고의 스펙트럼
    2.1. 음악적 숭고 담론 분석: 음악 실제와 숭고 체험의 관계
    2.2. 21세기 숭고의 이론/이념: 숭고에서 역숭고까지
3. 숭고/역숭고와 음악분석
    3.1. (역)숭고의 체험으로서의 음악분석
    3.2. 음악이론과 대중음악담론의 “숭고한 대상”
4.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
  • 조현리(이화여자대학교) | Hyunree C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