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시김새 표현을 위한 가야금 가상 악기 개발 KCI 등재후보

Research and Development a Virtual Instrument Gayagum for Sigimsa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489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대중음악콘텐츠 (Popular music contents society)
대중음악콘텐츠학회 (Popular Music Contents Society)
초록

기존의 개발되었던 국악 가상 악기들은 시김새를 표현하기 위해 키 스위치 방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접근이 실제 음악에 적용되었을 때 음악에 적합한 표현이 불가능하다는 한계점 을 인식하고 이를 개선하고자 애프터터치를 이용하여 음고 조정이 가능한 가야금 가상 악기를 제 작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가야금 가상 악기의 음원 녹음을 위해 25현 개량 가야금을 기준으로 음정과 셈여림을 정하고, 매 연주마다 다른 샘플이 재생될 수 있도 록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구현될 것을 감안하여 총 225개의 음원을 녹음하였다. 가야금 가상 악기 는 Max For Live로 프로그래밍 되어 에이블톤 라이브와 연동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시김새를 표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으로 각 음마다 샘플을 재생하는 건반과 애프터터치를 조정 하는 건반을 할당하여 오른손으로 연주를 하고 왼손으로 음고를 변화시켜 시김새를 표현하였다. 본 논문은 시김새의 자연스러운 표현을 위한 제안으로 시작하였지만 손의 제스처가 개별적인 음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가상악기를 개발하기 위해서 애프터터치가 아닌 새로운 컨트롤러가 필요하 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시김새의 표현에 대한 가상악기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나 아가 국악기의 미디음원 사용이 활성화되어 국악기의 활용의 폭이 한층 더 넓혀질 수 있는 데 기 초 연구가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Previously developed Korean traditional virtual instruments used the key switch method to express Sigimsae. This study recognizes the limitations of this approach when it is pplied to musi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gayagum virtual instrument that can adjust pitch by using aftertouch to improve it. The process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for the recording of the sound source of the gayagum virtual instruments, the pitch and dynamic are determined based on the 25-string modified gayagum. It is implemented in a round-robin so that different samples can be played for each key trigger. The Gayagum virtual instrument is programmed for Max for Live and developed for use with Ableton Live. As a concrete method for expressing Sigimsae, I assigned a keyboard to reproduce samples and aftertouch for each note, play with right hand, and chage pitch with left hand.

목차
요약
Abstract
I. 서 론
II. 본 론
    1. 기존 가상 악기의 분석
III. 결 론
참 고 문 헌
저자
  • 임대환(상명대학교) | Dae Hwan L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