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인천 및 경기도 도서지역 소사나무림 군집구조분석 연구 - 석모도, 영종도, 영흥도 및 대부도를 대상으로 - KCI 등재

A Study on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Carpinus turczaninowii in Islands of Incheon and Gyeonggi-do - Case Study of Seokmo, Yeongjong, Yeongheung and Daebu Island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557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본 연구는 도서식물자원인 소사나무의 식물군집구조 분석을 통해 소사나무림의 서식지 외 보전 및 서식환경 등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군집구조 분석을 위하여 소사나무가 출현하는 석모도, 영종도, 영흥도 및 대부도를 대상으로 총 29개의 방형구(각 100㎡)를 설치 및 조사하였다. 군집분류는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ion 분석을 하였다. 군집분류 결과 소사나무-졸참나무 군락(Ⅰ), 소사나무-소나무 군락(Ⅱ), 소사나무-신갈나무 군락(Ⅲ), 소사나무-팥배나무 군락(Ⅳ), 소사나무 전형군락(Ⅴ), 소사나무-굴참나무 군락(Ⅵ) 등 총 6개의 군락으로 분류되었다. 종다양도는 0.90008~1.12868, 우점도는 0.17536~0.25665이며, 유사도지수는 17.1429~38.2979%이었다. 군락별 7개 환경인자를 RDA ordination로 상관관 계 분석한 결과 제 1축은 울폐도 및 낙엽층 깊이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암석노출도, 토양경도 및 해발고도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제 2축은 암석노출도와 울폐도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경사도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군락 Ⅰ(소사나무-졸참나무 군락)은 주로 울폐도 및 낙엽층 깊이가 식생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인자로 나타났다. 군락 Ⅱ(소사나 무-소나무 군락)와 군락 Ⅲ(소사나무-신갈나무 군락)은 경사도가 식생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인자로 나타났으며, 군락 Ⅳ(소사나무-팥배나무 군락), 군락 Ⅴ(소사나무 전형군락)와 군락 Ⅵ(소사나무-굴참나무 군락)은 암석노출도, 해발고도, 토양 경도 등이 식생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인자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data such as the structure of the Carpinus turczaninowii community and characteristics of the habitat environment for ex situ conservation by analyzing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Carpinus turczaninowii, an island plant resource. For the community structure analysis, this study established 29 plots, sized 100㎡ each, in Seokmo, Yeongjong, Yeongheung, and Daebu islands. TWINSPAN was used for the classification of communities. The classification identified six communities. Group Ⅰ was the C. turczaninowii-Quercus serrata community, group Ⅱ was the C. turczaninowii-Pinus densiflora community, group Ⅲ was the C. turczaninowii-Quercus mongolica community, group Ⅳ was the C. turczaninowii-Sorbus alnifolia community, group Ⅴ was the C. turczaninowii typical community, and group Ⅵ was the C. turczaninowii-Quercus variabilis community. The species diversity was 0.90008~1.12868, the dominance was 0.17536~0.25665, and the similarity index was 17.1429~38.2979%.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of 7 environmental factors for 6 communities by RDA ordination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crown density and litter layer an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bare rock, soil hardness, and altitude on the 1st axis. On the 2nd axis, the bare rock and crown densit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and the slope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In the C. turczaninowii-Quercus serrata community (Ⅰ), the crown density and the litter layer were the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the vegetation distribution. In the C. turczaninowii-Pinus densiflora (Ⅱ) and C. turczaninowii-Quercus mongolica (Ⅲ) communities, the slope was the factor affecting vegetation distribution. In the C. turczaninowii-Sorbus alnifolia (Ⅳ), C. turczaninowii typical (Ⅴ), and C. turczaninowii-Quercus variabilis (Ⅵ) communities, the bare rock, altitude, and soil hardness were the factors affecting vegetation distribution.

목차
요 약
ABSTRACT
서 론
연구방법
    1. 연구대상지
    2. 식생조사 및 분석
결과 및 고찰
    1. 식물군집구조 분석
    2. 군락별 환경인자 상관관계 분석 등
REFERENCES
저자
  • 김용훈(경기도산림환경연구소 바다향기수목원팀) | Yong-Hoon Kim (Gyeonggi-Do Forestry Environment Research Center)
  • 권오정(동국대학교 생태환경연구소) | Oh-Jung Kwon (Institute of Ecological Environment, Dongguk Univ.)
  • 반수홍(동국대학교 대학원 바이오환경학과) | Su-Hong Ban (Graduate School, Dept. of Biological & Environmental Science, Dongguk Univ.)
  • 오충현(동국대학교 바이오환경과학과) | Choong-Hyeon Oh (Dept. of Biological & Environmental Science, Dongguk Univ.)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