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요양보호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요양서비스에 미치는 영향

The mediated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 of the positive psy chological capital and care service of the care worke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600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400원
전국상담복지연구 (National Counseling Welfare Research)
전국상담복지학회 (National Counseling Welfare Academ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요양보호사들의 긍정심리자본과 요양서비스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요양보호사의 긍정심리자본 과 사회적지지의 증진으로 요양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천적 방안마련과 실증적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요양보호사의 요양서비스를 향상시키기 위해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심리자본의 자아탄력성 증진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요양보호사의 고용안정과 처우개선을 위하여 제도의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요양보호사의 전문화를 위한 근무환경개선이 필요하다. 넷째, 요양보호사들의 낙관성을 보완하기 위한 문화 활동 지원이 필요하다. 다섯째, 요양보호사에 대한 긍정심리자본 향상 교육이 요구된다. 여섯째, 친사회적인 행동에 대한 교육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practical and empirical basic data to improve the quality of care services by improving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ocial support of care workers by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care services of care workers.,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to improve the care service of care workers.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to improve the ego-resilience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econd,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system for the employment stability and treatment improvement of care workers. Thir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for specialization of care workers.,Fourth, it is necessary to support cultural activities to supplement the optimism of care workers. Fifth, education for improving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for care workers is required.,Sixth,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education system for pro-social behavior.

목차
[개 요]
[Abstract]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및 연구문제
Ⅱ. 이론적 배경
    1. 요양보호사
    2. 요양보호사의 긍정심리자본
    3. 사회적지지
    4. 요양서비스
    5.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1. 연구모형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방법
Ⅳ. 연구결과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기술통계
    3. 조사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차이
    4. 구조모형 검증
    5. 하위영역별 영향 관계
Ⅴ. 결 론
    1. 연구결과 요약
    2. 제언
참 고 문 헌
저자
  • 이재풍(칼빈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한희숙(KC대학교 사회복지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