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감정노동이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Childcare Teachers according to Job Stres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607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000원
전국사회복지연구 (National Social Welfare Research)
전국사회복지학회 (National Social Welfare Academy)
초록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감정노동과 이직의도 간의 직접적 영향관계를 살펴보고, 감정노동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를 매개변인으로, 사회적 지원을 조절변인으로 한 간접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이 이직의도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감정노동과 이직의도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원은 감정노동과 이직의도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적 지원을 많이 받는 보육교사가 그렇지 못한 교사에 비해 감정노동으로 인한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If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rect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turnover intention of childcare teachers, and to examine the indirect effects of job stress as a mediator and social support as a moderating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turnover intention. The results showed that emotional labor of child care teachers had a direc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and job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turnover intention. In addition, the social support of child care teachers showed a moderating effect on emotional labor and turnover intention. In other words, the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who receive much social support on the intention to turnover by emotional labor was relatively smaller than that of teachers who did not.

목차
[개 요]
[Abstract]
1.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문제
Ⅱ. 이론적 배경
    1. 이직의도
    2. 감정노동
    3. 직무스트레스
    4. 사회적 지원
    5.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방법
    2. 조사도구 및 자료분석
Ⅳ. 연구 결과
    1. 주요 요인별 기술통계
    2. 주요 요인별 상관관계
    3. 직접 효과 분석
    4. 간접 효과 분석
Ⅴ. 논의 및 결론
    1. 감정노동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직접적 효과
    2. 감정노동과 이직의도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3. 감정노동과 이직의도 관계에서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
참고 문헌
저자
  • 김향미(칼빈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양금숙(주영어린이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