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장병의 스트레스 대처를 위한 정원 활용방안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Use of Gardens to Cope with the Stress of Soldie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619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본 연구는 육군 장병들의 스트레스 대처방안을 파악하고 정원조성의 스트레스 대처방안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육군 4개 대대 366명이며, 설문조사는 2020년 8월 7일부터 10일 까지 실시하였다. 17개 스트레스 대처방안에 대한 요인분석을 통해 5개 인자가 추출되었다. 요인별 스트레스 대처의 정도는 취미·위락요인이 가장 높고 다음이 프라이버시요인, 사회적 접촉요인, 구기 운동요인, 자기계발요인 순이었다. 스트레스 대처를 위한 정원의 역할은 스트레스 해소에 어느 정도 도움이 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정원의 기능공간별 선호도는 프라이버시공간, 산책‧운동공간, 대화‧ 소통공간, 자연감상공간 순으로 높게 평가되었다. 따라서 군부대에 정원을 조성한다면 무엇보다도 장병들이 프라이버시가 확보된 공간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공원 조성은 장병의 스트레스 해소 및 직무능력 회복에 도움을 주고 더 나아가 군 전투력 향상에 기여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o cope with the stress of soldiers in the army an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coping with the stress of gardening. The subject of the study were 366 people from 4 battalions of the army,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August 7 to 10, 2020. Five factors were extracted through factor analysis for 17 stress coping strategies. The degree of coping with stress by factor was the highest in hobbies and entertainment factors, followed by privacy factors, social contact factors, ball game factors, and self-development factors. The role of the garden for coping with stress was found to be helpful in relieving stress to some extent. The preference for each functional space of the garden was highly evaluated in the order of privacy space, walk/exercise space, conversation/communication space, and nature appreciation space. Therefore, when creating a garden in the military base, it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to create a space where the privacy of soldiers is secured. The creation of the garden will help relieve the stress of the soldiers and restore their job ability, and further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military combat power.

목차
1. 서론
2. 이론적 고찰
    2.1 스트레스 대처방안
    2.2 스트레스 대처방안으로서의 치유정원
3. 연구방법
    3.1 연구 대상
    3.2 설문지 설계
    3.3 조사 및 분석방법
4. 결과 및 고찰
    4.1 스트레스 대처방안
    4.2 정원 활용방안
5. 결론
References
저자
  • 심재구(전북대학교부설 휴양 및 경관계획 연구소) | Jeagu Shim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Jeonbuk National University)
  • 양지인(전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Jiin Ya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Jeonbuk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안득수(전북대학교 조경학과) | Deugsoo Ah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Jeonbuk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