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Optometry System of China, Hong Kong, Malaysia, Australia, Germany, and the USA KCI 등재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668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1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적 : 중국, 홍콩, 말레이시아, 호주, 독일 및 미국의 optometry 관련 제도를 조사하고 분석하여 대한민국 안경사 제도 개선 방안에 참고가 되고자 하였다.
방법 : 구글스칼라(Google Scholar),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코리아스칼라(Korea Scholar) 및 디비피아 (DBpia)를 통해 중국, 홍콩, 말레이시아, 호주, 독일 및 미국의 optometry 관련 정보를 검색하고 수집하였다.
결과 : 홍콩, 호주 및 미국은 optometrist 및 ophthalmic dispenser 업무를 명확하게 구분하여 운영하고 있 으며, 독일은 수공업 규정을 따르며 세계화에 맞춰 optometrist로 직종을 추가하였다. 말레이시아는 비교적 최근에 optometrist 제도를 도입하였으며, 홍콩, 호주 및 미국과 유사한 업무 범위를 가진다. 중국은 험광원 및 정배 공을 등급별로 구분하였으나, 한국과 유사하게 비정시의 진단 및 처치는 수행할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중국, 홍콩, 말레이시아, 호주, 독일 및 미국의 optometry 제도에서 조사 및 분석된 시사점을 통해 대 한민국 안경사의 전문성 강화와 시대적 상황에 부합되는 제도 개선 방향이 제시되었다고 생각된다.

Purpose : We investigated and analyzed optometry related systems in China, Hong Kong, Malaysia, Australia, Germany, and the USA that intended to be a reference to improve the Korean optometry system.
Methods : Optometry related information in China, Hong Kong, Malaysia, Australia, Germany, and the USA was searched and collected through Google Scholar, Academic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RISS), Korea Scholar, and DBpia.
Results : Hong Kong, Australia, and the USA strictly separate and operate optometrist and ophthalmic dispenser. Germany follows the rules of handicraft manufacturing systems and the optometrist were added with the globalization trend. Malaysia has applied the optometry system relatively recently and a similar work range with Hong Kong, Australia, and the USA. China classified Yànguāngyuán and Dìngpèigōng by grade, however, similar to Korea, it was found that diagnosis and treatment of ametropes could not be allowed.
Conclusion : Through the implications surveyed and analyzed with optometry systems in China, Hong Kong, Malaysia, Australia, Germany and the USA, it is believed that the direction of reinforcing the expertise of Korean optometrist and improving the system in direction with the situation of the times was suggested.

목차
Abstract
Ⅰ. 서 론
Ⅱ. 재료 및 방법
    1. 문헌 조사
    2. 조사 기간
    3. 용어 표기
    4. 직종 설정
    5. 인력 추계 설정
Ⅲ. 결 과
    1. 중국, 홍콩, 말레이시아, 호주, 독일 및 미국의optometry 관련 법률 제도
    2. 중국, 홍콩, 말레이시아, 호주, 독일 및 미국의optometry 관련 업무 범위
    3. 중국, 홍콩, 말레이시아, 호주, 독일 및 미국의optometry 관련 교육 제도
    4. 중국, 홍콩, 말레이시아, 호주, 독일 및 미국의optometry 관련 인력 수급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요 약
저자
  • Bon-Yeop Koo(신성대학교 안경광학과) | 구본엽
  • In-Chul Jeon(동신대학교 안경광학과) | 전인철
  • Hyun-Sung Leem(을지대학교 안경광학과) | 임현성
  • Ki-Choong Mah(을지대학교 안경광학과) | 마기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