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교사가 지각한 불안정한 성인애착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에서 대인존재감의 매개효과 KCI 등재

The Mediating Effect of Matter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Unstable Adult Attachment and Interpersonal Competenc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671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교원교육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Center For Education Research)
초록

본 연구는 교사의 대인관계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교사의 불안정한 성인 애착과 대인관계유능성의 관계에서 대인존재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강원도내 유·초·중·고 교사 330명을 대상으로 성인애착 척도, 대인관계유능성 척도, 대인존재감 척도를 사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Hayes (2013)의 PROCESS Macro 모델 4를 통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애착불안은 근무지 학교급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바, 유치원교사들은 중등교사들보다 애착불안이 낮고 대인존재감은 높았지만, 대인관계 유능성에서는 학교급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직경력이 낮은 교사들(1~9년)이 10년이상 경력 교사에 비해 애착불안이 높았으며, 고경력(21년 이상) 교사들은 대인관계 유능성의 하위요인인 대인갈등 다루기에서 나머지 경력 집단 보다 높았지만, 애착회피, 대인관계유능성, 대인존재감 전체에서는 학교급별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가 지각한 불안정한 성인애착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부적인 관계에서 대인존재감이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간접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사의 대인관계 능력의 향상을 위한 교육 및 연수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provide intervention information for cultivating teachers’ interpersonal competency by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mattering to othe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unstable adult attachment(i.e. attachment anxiety, attachment avoidance) and interpersonal competency.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one-way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on 330 K-12 teachers in Kangwon province using SPSS 24.0 and PROCESS macro 4.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eachers’ attachment anxiety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s where they worked. Thus, kindergarten teachers’ attachment anxiety was lower than middle school teachers and their emotional support and mattering to others was higher than elementary teachers,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attachment avoidance and interpersonal competencies between the three groups. Second, teachers with low teaching experience (one to nine years) had higher attachment anxiety than those with longer experience, and teachers with longer experience (over 21 years) were found to be more capable in dealing with interpersonal conflict than the other groups.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attachment avoidance, interpersonal competency, and mattering to others among all school levels. In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unstable adult attachment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perceived by teachers, the indirect effect partially mediated by mattering to others was identified. Based on the results, education and training plans for the improvement of teachers’ interpersonal competencies were discussed.

목차
<< 요 약 >>
Ⅰ. 들어가는 말
Ⅱ. 이론적 배경
    1. 애착이론과 교사의 성인애착
    2. 성인애착과 대인관계유능성의 관계
    3. 성인애착과 대인존재감의 관계
    4. 대인존재감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
    5. 연구모형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자료분석
Ⅳ. 연구결과
    1. 성인애착, 대인관계유능성, 대인존재감 간의 상관관계
    2. 근무지 학교급, 교직경력, 성별에 따른 주요변인의 차이
    3. 성인애착과 대인관계유능성의 관계에서 대인존재감의 매개효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오현미(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학교상담 전공) | OH Hyeon-mi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최윤정(강원대학교 교육학과) | Choi Yoon-ju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교신저자
  • 문효빈(강원대학교 교육학과) | Moon Hyo-bin (Kangwon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