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교직과목 「교육행정」 수업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KCI 등재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Teaching Subjects for an 「Education Administration」 Clas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671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교원교육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Center For Education Research)
초록

이 연구는 예비교사들이 교직과목 「교육행정」 수업을 수강하게 된 이유와, 수업을 통해 어떤 경험을 하는지, 수업에 대한 요구는 무엇인지를 알아봄으로써 교직과목 「교육행정」이 예비교사에게 갖는 의미를 찾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A교사양성기관의 교직과목 「교육행정」 수업을 대상으로 하여 참여관찰과 심층면담, 문서분석을 통해 질적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의 수강 이유는 ‘임용시험을 준비하기’와 ‘별생각 없이 학점 채우기’ 위해가 주된 이 유였으며, 교직과목 「교육행정」에 대해 생소하고, 거리감을 느끼며, 필요성에 의문을 가지는 것으 로 나타났다. 수업 초·중기 예비교사들은 거시적 교육행정 이론을 배우며 교육적 시사점을 찾기 힘들어하면서 ‘가질 것은 가지고 버릴 것은 버리는’ 태도를 취하다가 수업 후기 실제와 연계된 교육행정 이론을 배우며 교직과목「교육행정」이 유용한 과목임을 알게 되었다. 교직과목 「교육행정」 수업을 통해 예비교사들은 ‘이상적인 교육에 대해 고민’해볼 수 있었다고 하였으며, 교직과목 「교육행정」에 대해 ‘교사의 주체성을 신장’할 수 있도록 해주는 과목이라는 교육적 의미를 부여하였다. 수업이 끝난 후 예비교사들은 ‘실제적인 교육행정을 배우기’와 ‘성찰적, 교육행정적 사고 함양 하기’를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얻게 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교사들이 요구하는 교직과목 「교육행정」의 필요성에 대한 성찰적 사고와 교육행정적 사고 함양을 위한 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둘째, 예비교사들이 교육행정을 일찍부터 자주 접하며 교직 과목 「교육행정」에 대한 공감대를 미리 형성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직 준비에 적합한 교직과목 「교육행정」 수업 내용 재구성 및 방법 마련이 필요하다.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the meaning of the teaching subject "Educational Administration” for pre-service teachers. To that end,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was conducted, targeting the teaching subject "Educational Administration” class. The result showed that pre-service teachers took this class mainly because they were to prepare for the teacher’s exam and to fill required credits. In the early and mid-terms of the classes, they felt difficulty in finding pedagogical implications. However, as the class moved toward the end, they were able to realize the teaching subject “Educational Edministration” as being a useful subject. Pre-service teachers discovered that this class helped them to think about what ideal education is and enhanced their identity as teachers. After the classes, pre-service teachers hoped to learn about actual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to cultivate their reflective and education- administrational thinking.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create alternative methods for cultivating educationadministrational thinking and reflective thinking, which were required by pre-service teachers. Second, it is important for pre-service teachers to be in frequent contact with education administration from early on and to establish a sense of familiarity with the teaching subject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 advance. Third, it is crucial to reorganize the contents of the teaching subject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develop suitable teaching methods for preparing students for the teaching profession.

목차
<< 요 약 >>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교직과목 「교육행정」
    2. 선행연구 분석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자료수집 및 분석
    3. 연구타당도 및 연구윤리 확보
Ⅳ. 연구결과
    1. 교직과목 「교육행정」 수업 수강 이유와 기대
    2. 교직과목 「교육행정」수업을 통한 경험과 그 의미
    3. 교직과목 「교육행정」수업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요구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김세영(한국교원대학교) | Kim Se-Yeong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김도기(한국교원대학교) | Kim Do-Ki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