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cational Environment of Rice Fields and the Evolution o f Irrigation
청동기시대 논 경작지에 대한 연구는 입지와 구조, 그리고 수리 관개시설에 대한 논의가 있어 왔다. 논의 구조와 수리관개 시설의 관계를 통한 변화의 모습을 파악하기도 하지만, 입지와의 관계에 대해서는 아직 구체적 논의는 없다. 본고는 논 경작지의 구체적 입지환경을 분석하여 이를 유형화하고 수리관개시설의 변화와 함께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이른 시기부터 논 입지는 저습한 지역을 선택하였고, 이의 변화 과정에서 수리관개시설의 설치와 함께 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청동기시대 논 경작지는 다양한 조건과 환경을 갖춘 곳을 선택하지만 주로 저습한 지형 모두를 이 용하였다. 특히 충적지형에서는 미세한 지형 조건에 맞추어 입지 선택을 달리하는데,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입지 변화는 논의 구조와 형태, 기술의 진보와도 연관된다. 현재 논의가 분분한 구상과 반구상 경작유구는 전형의 논 등장 이전에 나타난 밭에서 논으로 이행하는 과도기적 경작지로 파악되는데, 그 형태와 구조, 관개의 방식이 초기 경작지의 모습을 갖추고 있다. 이후 과도기를 거치고 논 경작지는 점차 완성되는 모습이다. 당연 그 과정에서는 입지환경이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입지는 처음에는 완만한 충적지형의 미곡저지를 선택하였는데, 용수의 취득을 우선한 결정이었다. 이후 저습한 환경의 입지를 고루 선택하면서 본격적인 논 경작의 과정을 진행해 간다. 물론 이 과정에서도 완전한 형태의 논 경작지 조성보다는 천수에 의존한 경작지 조성을 주로 하였을 것이다. 그러면서 점차 입지 환경을 극복하는 모습이 보이는데, 이는 수리 관개 시설의 등장과 함께 하고 결국에는 논 경작지와 수리관개시설은 완성된 조합으로 이어진다.
The location, structure, and shape of rice fields and their irrigation infrastructures during the Bronze Age have been frequently discussed. This paper reveals the evolution of farming though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hape and irrigation infrastructures of rice fields; however, specific discussion on the connection between locations of rice fields has been limited. This study conducted a specific analysis on the locational environment of rice fields to categorize the locations while examining the correlation with irrigation, one of the component parts of farming. Areas with the required environment that met various conditions were utilized as rice field locations during the Bronze Age. Alluvial landforms and mountains, along with areas of low humidity in hilly areas, were all utilized, and observations showed that the microtopography of the selected locations changed over time. Change of location is tied to the structure and shape of the rice fields, along with the advancement of farming technology. Currently there is much debate on spheric and hemispheric farmlands, which are believed to be the cultivation areas transitioning to quintessential rice fields.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se farmlands provided glimpses of early farming practices prior to adopting irrigation. After this transition period, the areas showed signs of becoming complete rice fields; thus, the locational environment proved to be an extremely important factor during this process. Initially, rice fields were observed in slight depressions within large alluvial areas that had little to no terrain slope due to the ease of acquiring water. Later, as rice field farming became more common, locations with low humidity were selected. It is currently believed that most cultivated farmlands still relied on rainwater over complete farmlands during this process. As mankind overcame these locational environment challenges in this period, irrigation infrastructures appeared and thus ultimately led to the combination of rice fields and irrigation systems in farm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