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韓國 靑銅武器의 型式分類와 硏究 動向 –尹武炳 선생의 1966·72年 論文과 그 以後- KCI 등재

The Typology and Study Trend of Korean Bronze Weapons –The papers presented by Youn Moo-Byong in 1966, 1972 and other periods-

한국 청동무기의 형식분류와 연구 동향 –윤무병 선생의 1966·72년 논문과 그 이후-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679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400원
韓國靑銅器學報 (한국청동기학보)
한국청동기학회 (Society for Korean Bronze Culture)
초록

한국의 청동무기 연구는 尹武炳의 청동단검 형식분류에서 시작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는 동북아지역의 청동무기 중 한국에서 출토되는 동검의 특징적인 마연 현상을 찾아낸 것이다. 이후 이를 기반으로 세밀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었는 바 아직까지 이보다 先見을 가진 형식분류가 나오지 못한 것은 그의 완성도 높은 논문에 따른 것으로 생각된다. 다시 말해 그의 청동무기 형식분류는 현재에도 생명력을 잃지 않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겠다. 다만 尹武炳의 청동무기 형식분류는 공반품의 검토에서 오류가 발생하는데 필자는 선생의 연구를 기반으로 재분류를 진행하였다. 즉 동검 Ⅰ식과 Ⅱ식 마연의 세부적인 분류를 진행하고, 공반품을 통해 각각의 공존기간을 살펴보았다. 이와 함께 요령식-한국식동과의 계보 문제(단절), 중세형 청동무 기의 제작지(국산화)에 대한 견해를 간략히 제시하였다. 이는 1960년부터 2020년까지 청동무기 연구사와 출토 사례를 기반에 둔 분류·분석의 결과로 생각되는 바이다. 이상을 토대로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생각해본다면, 형식분류의 확대보다 선학의 연구사를 받아들이고, 치밀한 관찰을 통해 한국고고학에서 밝혀내지 못한 점을 특정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나아가 고고학 연구는 다양한 방향 모색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다각화된 쟁점 및 학제 간 협동 연구가 필수적이라 하겠다.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study of bronze weapons in Korea is based on the typology of bronze daggers by Youn Moo-Byong. He fou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varnishing phenomenon of the bronze sword, excavated in Korea among bronze weapons in Northeast Asia. Based on such findings, various and detailed studies have been conducted, and it is thought that the fact that the typology with foresight did not appear shows that his research holds a high degree of completion. In other words, it is suggested that Youn Moo-Byong's typology of bronze weapons does not lose its vitality until now, which is continuously used. However, errors occur in the Youn Moo-Byong's typology of bronze weapons when examining associated goods. For this reason, the author adds additional plans based on this study. For example, detailed taxonomy was conducted on bronze dagger Ⅰ and bronze dagger Ⅱ, and the coexistence period was established through associated goods respectively. In addition, this study briefly presents the views on the issue(severance) of genealogy between Liaoning type-bronze dagger and Korean type-bronze dagger and the production site of middle slender bronze weapons(localization). This is thought to be the result of classification and analysis of bronze weapons and the research history of bronze weapons based on excavated cases from 1960 to 2020. Considering the future direction of research, it is necessary to accept the history of previous studies rather than the unnecessary expansion of typology and it is needed to specify the parts undiscovered in the Korean archaeology through the careful observation. Furthermore, archaeological research requires a variety of directions. To seek out the directions, mutual cooperation in various ways will be essential.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尹武炳의 韓國 靑銅武器 型式分類
    1. 銅劍
    2. 銅鉾
    3. 銅戈
Ⅲ. 尹武炳의 韓國 靑銅武器 年代 考察
    1. 第Ⅰ期
    2. 第Ⅱ期
    3. 第Ⅲ期
Ⅳ. 1960~2020年 韓國 靑銅武器의 硏究 傾向
Ⅴ. 1960~2020年 韓國 靑銅武器의 出土와 觀察 基盤
Ⅵ. 몇 가지 論議에 대해서
    1. 韓國 靑銅短劍의 型式分類와 共伴品
    2. 遼寜式銅戈와 韓國式銅戈의 系譜 問題
    3. 韓國 靑銅武器의 製作(地)에 대한 論爭
Ⅶ. 맺음말-앞으로의 硏究 方向
참고문헌
저자
  • 허준양(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 Heo jun-yang (Gyeong-ju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