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COVID-19 상황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회복탄력성, 사회적지지, 커뮤니티 탄력성 및 불안과의 관계 KCI 등재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Resilience, Social Support, Community Resilience, and Anxiety of Nursing Students Experienced COVID-19 Situ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711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구 한국유화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KSAST))
초록

본 연구는 COVID-19 상황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회복탄력성, 사회적지지, 커뮤니티 탄력성 및 불안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의 Y대학교 대학생 252명을 대상으로 구1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 수집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회복탄력성은 5점 만점에 평균 3.10점, 사회적지지는 5점 만점에 4.22점, 커뮤니티 탄력성은 5점 만점에 3.21점, 불안은 4점 만점에 평균은 2.21점으로 나타났다. 회복탄력성은 사회적지지(r=.32, p<.001)와 커뮤니티 탄력성(r=.18, p=.004) 과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불안과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64, p<.001). 따라서 대학생들의 회복력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사회적지지와 커뮤니티 탄력성을 강화하고 불안감을 조절하고 대처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현실적인 지원 방안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social support, community resilience, and anxiety in nursing students. 252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the university located in Gyeonggi-do and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WIN 25.0 program, with descriptive statistics x2-test,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The average score were resilience 3.10 out of 5, social support 4.22 out of 5, community resilience 3.21 out of 5, and anxiety 2.21 out of 4. In addition, social support(r=.32, p<.001) and community resilience(r=.18, p=.004)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resilience, but anxiety(r=-64, p<.001)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resilience in university students. In conclusion, program and comprehensive support system are needed to strengthen social support and community resilience, to control and cope with anxiety in order to improve resilience of the university students.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목적
2. 연구방법
    2.1. 연구설계
    2.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2.3. 연구도구
    2.4. 자료 분석방법
3. 연구결과
    3.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2. 대상자의 회복탄력성, 사회적지지,커뮤니티 탄력성과 불안 정도
    3.3. 일반적 특성에 따른 회복탄력성, 사회적지지, 커뮤니티 탄력성과 불안 정도의 차이
    3.4. 대상자의 회복탄력성, 사회적지지, 커뮤니티 탄력성과 불안 간의 상관관계
4. 논 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
  • 김애정(여주대학교 간호학과) | Ae-Jung Kim (Department of Nursing, Yeoju Institute of Technology)
  • 문진하(여주대학교 간호학과) | Jin-Ha Moon (Department of Nursing, Yeoju Institute of Technology)
  • 서연희(여주대학교 간호학과) | Yon-Hee Seo (Department of Nursing, Yeoju Institute of Technolog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