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정박지 규모의 적정성 평가 기준에 의한 울산항 정박지 개선 방안 KCI 등재

Improvement Plan for Ulsan Anchorage Based on Adequacy Evaluation Criteri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736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해양환경안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해양환경안전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초록

울산항 정박지는 정박지 수요 대비 충분한 넓이의 면적이 확보되어 있지 않으나 이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이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행 정박지 밀집도와 가동률 개념의 문제점을 개선한 일반식과 정박지 적정성 평가를 위한 새로운 평가 기준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이 기준을 울산항 E 정박지에 적용하여 정박지 규모의 적정성을 평가하였다. 울산항 E1 정박지의 밀집도와 가동률은 각각 129 %, 122 %로 두 평가 기법 모두 100 %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나 평가 기준에 따라 정박지 확장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울산항 입출항 선박의 통항 패턴과 도선지점과의 거리를 고려하여 울산항 제1항로 끝단에서 부채꼴 모양으로 35도를 개방한 정박지 확장 방안을 제시하였고, 해상교통 항적도, 정박지 밀집도, 그리고 가동률 평가 기준을 적용하여 적정성을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울산항 E3 정박지 남측의 확장 해역과 해상교통 항적이 일부 겹치는 부분은 존재하나 매우 미미하여 해상교통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희박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정박지 모두에서 정박지 규모의 적정성이 확보되었음을 확인하였다.

The Ulsan anchorage has not secured a sufficient area than the anchorage demand, and the criteria for objective evaluation are not clearly defined. In this study, a general formula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urrent anchorage density and occupancy concept was derived, and new adequacy evaluation criteria were proposed. The proposed criteria were applied to the Ulsan E anchorage to evaluate the suitability of the anchorage. The anchorage density and occupancy of the E1 anchorage were 129 % and 122 %, respectively, showing that both evaluation techniques exceeded 100 %, requiring anchorage expansion according to the evaluation criteria. A plan to expand the anchorage was reviewed considering the traffic pattern and the distance from the pilot boarding point. Therefore, a plan to open 35˚ on a sector at the end of the Ulsan No. 1 fairway was developed, and its suitability was verified. Base on the verification results, there was a part of the overlap between the extended area and the traffic track on the south of the E3 anchorage, but the possibility of affecting the marine traffic was minimal.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anchorage adequacy was achieved.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2. 연구방법
3. 정박지 규모 적정성 평가
    3.1 정박지 밀집도 평가법
    3.2 정박지 가동률 평가법
    3.3 정박지 규모 적정성 평가
4. 울산항 E 정박지 적정성 평가 및 확장 방안
    4.1 개요
    4.2 울산항 E 정박지 밀집도, 가동률 평가
    4.3 울산항 E 정박지 규모의 적정성 평가 및 확장 방안
5. 결 론
References
저자
  • 박준모(목포해양대학교 항해학부) | Jun-Mo Park (Division of Navigation Science, Mokpo National Maritime University)
  • 윤귀호(한국해양대학교 항해융합학부) | Gwi-ho Yun (Division of Navigation Convergence Studies, Korea Maritime & Ocean University)
  • 강민균(한국해양대학교 항해융합학부) | Min-kyoon Kang (Division of Navigation Convergence Studies, Korea Maritime & Ocean University)
  • 이윤석(한국해양대학교 해양경찰학부) | Yun-Sok Lee (Division of Coast Guard Studies, Korea Maritime & Ocean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