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특허 소송에서 빅데이터 분석의 활용

Use of Big Data Analytics in Patent Litig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816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600원
서울대학교 기술과법센터 (Center for Law & Technology)
초록

우리나라에서 빅데이터 분석 기술과 특허 소송에서 활용 가능한 지식재산 서비스 또는 법률 서비스 사이의 격차를 줄이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지식재산 서비스에서 국내 기업은 해외 기업과 비교하여 데이터의 양과 질적인 측면에서 열세에 있으므로 국내의 지식재산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들은 데이터에 대한 정보처리 기술을 고도화하여 경쟁력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또한 특허 빅데이터 분석 기법에 관한 다양한 연구를 활용할 수 있는 알고리즘과 데이터를 오픈소스 방식으로 공개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여 연구결과의 활용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지식재산 서비스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데이터와 알고리즘에 대한 객관성과 투명성이 확보되어야 할 것이다.
법률 서비스에서는 법률산업 선진화와 신성장 동력 발굴 차원에서 리걸테크 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산업투자 및 기반 확충에 나서야 한다. 또한 적정한 수준의 비식별화가 이루어진 판결문에 대해서는 연구자들이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필요하다. 우리나라는 영미법과 달리 디스커버리 제도가 존재하지 않고 기본적으로 성문법주의를 채택하고 있는 점을 감안하여 판결문 검색을 위한 공공 서비스 등 우리나라 제도에 필요한 부분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현행 변호사법에 따라 비변호사가 빅데이터 분석 기술을 활용하여 유상으로 고객들을 상대로 법률사무를 취급하는 것은 금지된다. 그러나 변호사법 제109조 제1호의 궁극적인 목적이 일반 국민을 보호하기 위한 것임을 고려했을 때 적어도 알고리즘의 투명성과 데이터의 객관성이 확보되는 것을 전제로 변호사가 아닌 개인 또는 기업이 빅데이터 분석 기술을 활용해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일부 허용할 필요가 있으며 변리사 법에 의한 규제도 마찬가지의 고민이 필요하다.

In Korea, a plan to reduce the gap between big data analytics technology and IP services or legal services that can be used in patent litigation was proposed. In IP services, domestic companies are inferior in terms of data volume and quality compared to foreign companies, so domestic companies that provide IP services need to enhance information processing technology for data to secure competitivenes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 utilization of research results by providing a platform to disclose algorithms and data in an open-source manner that can utilize various research on patent big data analytics techniques. In order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IP services, objectivity and transparency in data and algorithms will need to be secured.
In legal services, industrial investment and infrastructure expansion to foster the legal tech industry must be initiated in order to advance the legal industry and discover new growth engin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database that researchers can easily access for judgments that have been de-identified at an appropriate level. Considering that unlike the Anglo-American law, Korea does not have a Discovery system and basically adopts written law, it is necessary to focus on what is needed for the Korean system, such as public services to search for retrieving judgments.
Under the current Lawyer Act, non-lawyers are prohibited from using big data analytics technology to deal with legal affairs with clients for a fee. However, considering that the ultimate purpose of Article 109 (1) of the Attorney-At-Law Act is to protect the general public, it is necessary to allow individuals or companies other than lawyers use big data analytics technology to provide legal services on the premise that at least transparency of algorithms and objectivity of data are secured. In addition the same needs to be considered for regulation under the Patent Attorneys Act.

목차
I. 들어가며
II. 빅데이터와 특허분석
    1. 빅데이터 기술
    2. 특허 정보의 특징
    3. 빅데이터를 활용한 특허분석
III. 지식재산 서비스에서 빅데이터 분석의활용
    1. 국내 지식재산 서비스에서 빅데이터 분석의활용
    2. 해외 지식재산 서비스에서 빅데이터 분석의활용
    3. 지식재산 서비스에서 빅데이터 분석의활용에 대한 시사점
IV. 법률 서비스에서 빅데이터 분석의 활용
    1. 국내 법률 서비스에서 빅데이터 분석의활용
    2. 해외 법률 서비스에서 빅데이터 분석의활용
    3. 법률 서비스에서 빅데이터 분석의 활용에대한 시사점
V. 특허소송에서 빅데이터 분석의 활용에대한 규제
    1. 변호사법에 의한 규제
    2. 변리사법에 의한 규제
VI. 결론
저자
  • 전우찬(SK SUPEX추구협의회 법무지원팀) | Woochan Je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