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국 문인화의 유파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Schools of Korean Literati Painti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830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800원
문화와예술연구 (문화와예술연구 (문화예술연구))
초록

본 연구는 한국의 중요한 문화유산으로 미래의 한국미술의 한 축을 담당할 한국 문인화의 유파에 대한 고찰이다. ‘문인화’라는 용어는 명대(明代)의 동기창(董其昌)이 처음 사 용하였으나 그 연원은 북송대(北宋代)의 소식(蘇軾)이 화공들의 그림과 상대되는 문인들의 그림을 ‘사인화(士人畵)’라 한데서 찾을 수 있으며 형사(形似)보다 운치(韻致)를 중요시하는 특징 이 있다. 현대의 문인화는 문인이라는 작가의 신분적인 요소보 다 작가의 문기가 표출된 작품이라 정의 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중국에서 전래된 한국의 문인화는 고려시대부터 조선 중기까 지의 작품은 거의 남아 있지 않아 초기의 수용 체계를 파악하 기는 어렵다. 조선 후기에 남종화가 본격적으로 유입되면서 이 인상, 강세황, 신위, 김정희 등의 작가들을 중심으로 독창적인 한국 문인화의 원류가 형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현대까지 이어지고 있는 한국의 문인화는 세 개의 유파로 분 류할 수 있다. 첫째 유파는 허백련과 손재형의 전통 유지파로 서 현재까지 왕성하게 활동하고 있으며, 먹의 농담을 중시하며 한국의 정서에 맞는 편안함과 여유로운 느낌의 표현이 특징이 다. 둘째 유파는 민영익, 김규진, 김용진, 서병오가 주축이 된 중국 신문인화 영향파로서 홍익대와 계명대 그리고 대구지역을 중심으로 문인화의 현대화 작업에 주력하고 있으며, 금석학의 영향으로 중봉의 필법과 강한 채색, 새로운 조형성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셋째 유파는 김용준으로부터 시작된 일본 신남화 영향파로서 서울대에서 수묵화 위주의 작업을 중심으로 현대미 술을 수용해가며 다양한 변화를 추구했다. 하지만 서울대출신 의 작가군의 고갈로 현재는 영향력이 미미한 상황이다. 이상과 같이 한국의 문인화는 중국에 기원을 두고 있지만 세개의 유파로 발전하여 독자적이고 다양한 표현 방식으로 한국 문인화단을 이끌고 있다. 동아시아에서 성행하였던 문인화는 그 정신성과 수묵의 운치 로 현대에 이르기까지 우리의 미의식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 다. 지성과 철학이 미술과 결합된 문인화는 한국의 중요한 문 화유산으로 미래의 한국미술을 대표할 수 있는 한 축을 담당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schools of Korean literati painting to represent Korean art in the future as Korea’s overarching cultural heritage. The term “literati painting” (文人画; wén rén huà) was first used by Dong Qichang during the Ming dynasty, but it originates from the fact that Su Shi referred to paintings done by a literary person as “scholar paintings” (士人畵, shì rén huà) during the Northern Song dynasty. This type of painting is particularly marked by its emphasis on elegance and taste ratherthan copying forms or images. It is fascinating how contemporary literati painting is defined as a painting that evokes a literary mood, not a literary person’s status. Very few works of Korean literati painting that werepassed down from China and produced betweenthe Goryeo dynasty andmid-Joseon period arestill in existence,so it is hard to grasp how this painting genre was embraced in its early stage. As the Southern School of Chinese painting was introduced in earnest duringthe late Joseon dynasty, the source of ingenious Korean literati painting was shaped primarily by late Joseon painters such as Yi In-sang, Kang Se-hwang, Shin Wi, and Kim Jeong-hui. Korean literati painting which continuesinto the present is pigeonholed into three schools. The first is the school of preserving tradition led by Heo Baek-ryeon and Son Jae-hyeoong. Painters included in this school still remain active to this day, and their paintings are characterized by a comfortable, relaxing atmosphere that suitsKorean emotions. The second is aschool that was influenced by Chinese new literati paintingand spearheaded by Min Young-ik, Kim Kyu-jin, Kim Yong-jin, and Seo Byung-oh. Painters included in this school of literati painting have concentrated primarily on modernizing literati painting at the centers of Hongik University, Keimyung University, and the Daegu region. Influenced by epigraphy, paintings of this school are particularly marked by jungbong(中鋒, a brush technique in which the center of a brush corresponds to the drawing direction), intense hues, and a new modeling quality. The third school initiated by Kim Yong-jun wasinfluenced by the New Southern School of Japanese Painting (新南画, new nanga). Painters of this school have pursued a wide range of changes to embrace contemporary art mainly in ink wash painting, but theeffect has beenmodest at best due to a reduction in the number ofartists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teaching staff. As examined above, Korean literati painting derived from China but developed into three schoolsthat led the Korean art scene with theirown distinctiveanddiverse expressions. Having flourished in East Asia, literati painting has had an enormous impact on our consciousness with its spirituality, elegance, and style. It is hoped that literati painting, which is the fusion of intelligence and philosophy, can play a leading part in representing Korean art as a key Korean cultural heritage.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문인화의 정의와 역사
Ⅲ. 한국의 문인화
  1. 한국의 문인화 수용
  2. 한국 문인화의 변천 과정
  3. 한국 문인화의 유파
Ⅵ. 나오는 말
저자
  • 하영준(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교수) | Ha Youngjun (Professor, Dongbang Culture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