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범패, 그 존재 이유와 역할에 대한 고찰 KCI 등재

A study on Consideration of the reason and role of its existence of Beompa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851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9,300원
불교문예연구 (Studies on Buddhist art and culture)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Studies on Buddhist art and culture)
초록

동물은 물론 살아있는 사람까지 제물로 바쳤던 고대의 종교음악은 세속적 쾌락이나 원시적 본능과 종교음악의 영역이 구분되지 않았다. 고등 종교가 발현되면서 계율과 윤리관이 형성되듯이 음악에도 정신적 ․ 감성적 규제가 이루어졌다. 신(神)이라는 막연한 대상을 찬양하던 고대 종교와 달리 그 종교를 창시한 성현의 말씀을 암송하는 율조가 고등종교음악의 시초가 되었다. 성현의 말씀에 의한 율조는 이전의 종교와는 비할 수 없는 강한 결속력으로 사회적 기반을 형성하였고 말씀이 지닌 음악적 성격은 공동체를 하나로 응집시키는 윤활유가 되었다. 기독교 신학자들의 음악 철학에 의한 그레고리오성가와 중국 성현들의 사상이 반영된 문묘제례악과 범패가 한국에 유입되었다. 이들 음악은 각기 선율적 양상은 달랐지만 이전의 원시 종교와 달리 절제되고 승화된 음악을 추구한 점에서 일치하였다. 그러나 조선조 억불숭유 시기를 지나며 유교음악의 법도는 유지되었지만 범패는 본래의 법도를 유지할 수가 없었다. 그리하여 오늘날 한국의 범패는 중국 전통에 의한 어단성장(語短 聲長)의 선율에 티베트와 일본의 밀교적 성격과 한국적 토착화로 인한 민속적 성격이 혼재되어 있다. 일부 승려들에 의해 전승된 범패는 개인의 예술적 기량이 더하여져 고도의 예술적 경지에 이르렀다. 이는 음악적ㆍ 민속적ㆍ문화적 관점에서는 문제가 되지 않지만 범패의 종교적 목적에서 는 생각해볼 여지가 있다. 대만의 성운대사는 “범패는 본래 대중들에게 들려주는 것이지 불타가 듣는 것이 아니다. 만약 대중이 알아듣지 못하면 어떻게 법음선류(法音宣 流)라고 할 수 있겠는가?”라고 하였다. 알아 듣지 못하는 한문 의례에 시대적 감성과 먼데다 고도로 예술화된 오늘날 한국 범패에 대하여 생각하 게 하는 대목이다. “범패란 무엇인가?”에 대한 궁극적 질문으로부터 범패 본연의 역할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In this paper, I have tried to illuminate the Korean beompae through the shamanic music of primitive religions, and the formation and ritual use of religious music around the world. Just as high religion emerged and its precepts and ethics were formed, mental and emotional regulations were also established in music. Unlike ancient primitive religions that praised a vague object of deity, the melody of recitation of the words of saint, the founder of the religion, formed the beginnings of high-religious music. Thereafter sacred and elegant music with restrained feelings differing from secular music was pursued The Gregorian chant, regarded as among the most sacred music in the world today, reflected the music philosophy of theologians at the time. The Confucian ritual music of the Munmyo Jeryeak and Buddhist Beompae chanting reflected the precepts of Chinese music philosophy, and flowed into Korea. While Buddhism was suppressed under the Joseon Dynasty, the spirit and law of Confucian music was maintained. However the Buddhist chant Beompae could not maintain its original spirit. Thus, today's Korean Beompae has a mixture of Korean folk characteristics due to indigenization. Bumpae, handed down by select monks, reached high artistic levels with the addition of individual artistic skills. This is not a problem from a musical, folklore, and cultural perspective, but there is room to think about it from the original religion purpose of Beompae. Taiwan’s great Ven Singwin(星雲) said, “Beompae is originally song for people, not for Buddha or Bodhisattva. If people do not understand, how can it be called Beompae?” Ven Singwin’s words implicitly reference Korean rituals which cannot be understood by those unfamiliar with the Chinese text, and highly technical art song Beompae that are far from the sensibility of today. It is time to discuss the original role of the Beompae, and to ask the question, “What is Beompae?”.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세속과 구분 없는 원시종교 악가무
Ⅲ. 성역(聖域)이 형성된 고등종교 음악
Ⅳ. 종교음악의 문화적 타협
Ⅴ. 한국 범패 현실과 비전
Ⅵ.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윤소희(위덕대학교 밀교문화연구소) | Yoon So-hee (Institute for Esoteric Buddhism in Uiduk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