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출토유물로 살펴본 경주 성건동 창고유적 KCI 등재

Storage Remains in Seonggeon-dong, Gyeongju, Examined based on Excavated relic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851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9,000원
불교문예연구 (Studies on Buddhist art and culture)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Studies on Buddhist art and culture)
초록

고대 국가에서 가장 중요한 재원은 조세로 거둔 곡물이며 이를 보관하기 위한 창고는 주로 산성 등에서 확인되고 있다. 당시 금석문과 산성에서 출토된 목간 내용으로 볼 때, 사찰 안에 창고가 존재했고, 산성 내 창고에는 보리와 같은 곡물을 60섬(石) 단위로 일정하게 관리했음을 알 수 있다. 이번에 경주 성건동 500-18번지 유적에서 조사된 다 수의 대호를 매납한 대형 건물지는 삼랑사 안에 마련된 창고로 장류와 같은 액상식품과 쌀 등을 보관하던 창고로 추정된다. 성건동 창고유적에서 확인된 대형 창고는 <매호식 건물>로 구분되며 건물 안에 대호를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해서 일정한 높이로 흙을 성토한 부분이 존재하고 있는 점이 특징이다. 이 성토부에서는 대호를 절반 정도 묻어둔 모습과 파손된 대호를 수시로 교체한 모습이 확인되며, 대호 위에 토제 뚜껑을 사용한 점은 저장물에 대한 보관관리가 상시적으로 이루어 졌음을 알려준다. 창고 유적에서 출토된 국자는 청동제와 목제 또는 조개껍질로 만들어 사용했는데, 보관중인 저장품이 변질되지 않도록 관리하기 위해서 필요에 따라서 다른 재질의 국자를 사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대호 안에서 출토된 숯으로 보아 삼국시대부터 장류를 담글 때 백탄을 사용했을 가능성이 있다. 이는 당시 식생활 모습을 살펴보는데 있어서 중요한 단서가 될 것이다. 당시 창고유적과 비교한 결과 경주 성건동 500-18번지 유적의 창고건 물은 삼랑사와 관련된 저장시설로 생각되며, 당시 황룡사, 실상사 등 당대 사찰 내 위치한 창고 모습을 알려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그리고 이러한 창고가 운영되기 위해서는 국가나 관청의 관리가 존재했음을 알려주므로, 향후 조사가 확대된다면 창고의 구조에 따른 차이가 확인될 것으로 판단된다.

The building site with a number of buried large jars examined at the site located in Seonggeon-dong, Gyeongju is estimated to be a storage of liquid goods and rice. It is a <Jar Burying Building>, which mounded soil to a consistent height inside the building and buried large jars. Large jars, half buried in the mounded layer of the building, were replaced once broken, and earthen lids were placed on the jars to store and manage the stored items. The Ladles excavated from the site were made of bronze, wood, or shell, and ladles of different material were used as necessary to make sure the stored material is not deteriorated. The charcoal found inside the jars suggests the possibility that fine charcoal could be used to prepare sauces from the Three States Period. The contents of epigraph and wooden tablet from the period indicate that the storage was inside a temple and crops such as barley were managed while uniformly divided by 60 sacks (石). In this respect, the storage at the site located in Seonggeon-dong, Gyeongju is presumed to be the storage facility related with Samnangsa Temple and shows the image of the storage inside the temple at the time.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연구사
Ⅲ. 경주 성건동유적 창고와 출토유물
Ⅳ. 삼국~통일신라시대 창고 사례
Ⅴ. 창고의 종류와 입지
Ⅵ.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차순철(서라벌문화재연구원) | Cha Soon-Chul (Seorabeol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