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서울 옥수동 미타사 아미타삼존불좌상의 복장 유물 분석과 양식 특징 KCI 등재

Analysis of Bokjang Items and Interpretation of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Amitabha Triad statues of Mitasa Temple in Seou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852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9,900원
불교문예연구 (Studies on Buddhist art and culture)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Studies on Buddhist art and culture)
초록

서울 옥수동 미타사의 주불전인 극락전에는 조성 연도와 양식이 서로 다른 아미타불상·관세음보살상·대세지보살상으로 구성된 아미타삼존불좌 상이 봉안되어 있다. 이 글은 아미타삼존불좌상의 복장 유물과 불상의 특징을 분석한 것으로, 필자가 2020년 8월에 실시한 복장 조사를 통해 수습한 자료를 중심으로 작성한 것이다. 아미타삼존불좌상 가운데 목조아미타불상의 복장에서는 조성발원문 (1707년) 1점과 중수발원문 2점(1744년·1917년)이 발견되었다. 건칠관세 음보살상의 복장에서는 조성발원문(1769) 1점이 수습되었다. 복장 기록을 분석한 결과 목조아미타불상은 1707년에 조성되어 1744년·1768년·1917 년 등 세 차례에 걸쳐 개금·중수되었고, 건칠관세음보살상은 1769년에 조성되어 1917년과 1970년에 개금·중수되었으며, 목조대세지보살상은 1744년과 1917년에 개금·중수된 사실이 확인되었다. 미타사 아미타삼존상에서 발견된 복장 기록은 조선 후기 왕실 발원 불상의 조성 및 개금·중수 과정을 이해하는데도 중요한 자료이다. 또한 필 자가 주목한 미타사 아미타삼존상의 후령통 내부 물목에 관한 연구는 조선시대 불복장 의식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는 『조상경(造像經)』의 내용을 이해하는데도 도움이 된다. 미타사 목조대세지보살상의 16세기 후령통, 목조아미타불상의 1707년 후령통, 건칠관세음보살상의 1769년과 1970년 후령통은 불복장 납입법의 변천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로서의 가치가 있다.

The Amitabha Triad statues (Amitabha Buddha, Avalokitesvara, Mahasthama-prapta) with different production periods and styles, are enshrined at the main Buddha hall of Mitasa Temple in Oksu-dong, Seoul. This paper analys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ree Buddha statues based on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project for the investigation of Bokjang conducted by the author in August 2020. One of Balwonmun on Creation (1707) - a handwritten document recoded the purpose of creating Buddha statues and the names of the people who supported the project - and, two of Balwonmuns on Maintenance and Repair (1744, 1917) were found from the Bokjang of Amitabha Buddha. From the Bokjang of Avalokitesvara, Balwonmun on Creation (1769) was found. Accoding to the records, Amitabha Buddha was created in 1707, and rapaired in 1744, 1768 and 1970, respectively. Avalokitesvara was created in 1769 and repaired in 1917 and 1970. The Creation year of Mahasthama-prapta is not clear but it was repaired in 1744 and 1917, respectively. Among the Buddha statues creat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it is extremely rare that several Balwonmuns were found like Amitabha Triad statues in Mitasa Temple. In this regard, the records found in the Bokjang of Amitabha Triad statues are important data for understanding the composition of the Buddhist statue create by the support of the royal family in the late Joseon Dynasty. Huryungtong from Mahasthama-prapta (16 Century), Huryungtong from Amitabha Buddha (1707), and Huryungtongs from Avalokitesvara (1769 and 1970) have important value as historical materials for studying changes of items consisting Bokjang and/or placing methods.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미타사 아미타삼존불좌상의 복장유물 현황
Ⅲ. 미타사 아미타삼존불좌상의 복장 기록 분석
Ⅳ. 미타사 아미타삼존불좌상의 양식 특징과 편년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유근자(동국대학교 예술대학 불교미술전공) | Yoo Geun-Ja (College of the Arts(Buddhist Arts) Dongguk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