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Effect of Undercorrection Using Spectacle Lens and Multifocal Soft Contact Lens on Binocular Visual Function KCI 등재

안경렌즈와 멀티포컬 콘택트렌즈를 이용한 저교정이 양안시기능에 미치는 영향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855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적 : 멀티포컬 소프트 콘택트렌즈와 +1.00 D 안경렌즈를 이용한 저교정이 양안시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나안 상태와 비교하고자 한다.
방법 : 17명의 대상군(평균 23.58±2.12세)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구면 굴절 이상이 ±1.00 D 이내, 난 시가 –0.75 D 미만인 자로 선정하였다. 나안(NC), 근용 +1.00 D 처방의 멀티포컬 콘택트렌즈(CM), +1.00 D 안경렌즈를 사용한 저교정(UL) 등 3가지 교정 방법에 대해 각각 반복 측정하였다. 양안시 기능 평가는 조절력, 조절 반응, 조절 용이성, 개산력, 폭주 용이성, 원거리 및 근거리 사위도 측정을 통해 평가하였다.
결과 : 본 연구에서 사용한 시력 교정의 방법은 조절력, 개산력, 원거리 사위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반면 조절 반응과 조절 용이성은 교정방법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NC, CM이 UL에 비해 유의한 영향을 끼쳤다. 폭주 용의성은 UL과 CM이 나안 상태에 비해 유의한 영향을 끼쳤으며, 특히나 CM 상태에서 가장 높은 폭주 용이성을 보였다. Howell chart를 이용한 근거리 사위도 측정은 UL과 CM이 나안 상태에 비해 유의한 결과를 보인 반면 Maddox rod를 이용한 측정에서는 UL이 나안 상태에 비해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결론 : 멀티포컬 콘택트렌즈는 조절 자극 반응과 버전스 반응에서 용이함을 나타내었다.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착용 그룹은 조절 반응이 감소되었고, 폭주 용이성에도 도움이 되는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멀티포컬 콘택트렌즈는 조절이나 버전스 기능에 문제가 있는 어린이나 젊은 사람들에게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undercorrection using multifocal soft contact lens and +1.00 D spectacle lens on binocular visual function compared to no correction. Methods : Seventeen individuals (mean age of 23.58±2.12 years) were recruit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Seventeen participants have less than sphere refractive error of ±1.00 D and with less than –0.75 D of astigmatism. Repeated measurements were performed using three different correction options; no correction (NC), correction using multifocal contact lenses (CM) with a plano power for distance and addition up to +1.00 D and undercorrection using +1.00 D spectacle lens (UL). The battery of binocular visual function measures includes amplitude of accommodation, accommodative response, accommodative facility, amplitude of divergence, convergence facility and near/distance phoria. Results : Types of vision correction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amplitude of accommodation, amplitude of divergence and distant phoria. Accommodative response with no corre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bigger than other two correction options, and CM induced statistically significant accommodative response compared to UL. Also, accommodative facility with no correction and CM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better than accommodative facility of UL. Convergence facility with UL and CM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better than NC. Also, near phoria measured Howell chart with UL and CM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an NC whereas near phoria measured with Maddox rod with UL was statistically different from NC. Conclusion : Multifocal contact lens do not alter important changes in accommodative system yet provide better accommodative stimulus-response and vergence response. The subjects with multifocal contact lens exhibited decreased accommodative response and improved convergence facility. Thus, simultaneous image multifocal contact lenses may be useful for children and young adults who presented accommodative problems or vergence disorder.

목차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Methods
    1. Participants
    2. Vision Correction
    3. Binocular visual function measurements
    4. Statistical analysis
Ⅲ. Results
    1. Amplitude of accommodation
    2. Accommodative response
    3. Accommodative facility
    4. Amplitude of divergence
    5. Vergence facility (convergence facility)
    6. Distance phoria
    7. Near phoria
Ⅳ. Discussion
Ⅴ. Conclusion
References
요 약
저자
  • Inn-Jee Park(대경대학교 안경광학과) | 박인지
  • Byoung-Sun Chu(대구가톨릭대학교 안경광학과) | 추병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