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연곡천 송림보에서 어도의 개선에 따른 어류 종 조성 변화 KCI 등재

Changes in fish species composition after fishway improvement in Songrim weir, Yeongok strea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864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한국환경생물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초록

우리나라에서는 2020년에 생태계 건강성 측면에서 어류의 상하류 간 종적연결성 평가법에 대한 연구개발에 착수하였다. 본 연구는 최근 어류이동을 위한 아이스하버식 어도의 횡단구조물 개선이 이루어진 연곡천 송림보에서 2015~2020년 장기간 동안 보의 상하류 회유성 어종 이동성, 어류분포 특성, 섭식길드, 내성도 길드 및 종조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어류는 총 36종 5,136개체가 채집되었으며, 주요 회유성 어류는 황어 (Tribolodon hakonensis), 은어 (Plecoglossus altivelis altivelis), 연어 (Oncorhynchus keta) 로 3종이 확인되었다. 어도의 개선 이전 (Pre-I)과 이후 (Post-I) 비교분석에 따르면, 상류구간에서 일차담수어의 상대풍부도는 증가한 반면, 회유성 어종은 감소하였다. 송림보의 상/하류구간에서 어도 (Fishway)를 이용하는 어류는 황어 (58.4%), 은어 (11.8%)로 나타났고, 상/하류 구간의 Wilcoxon Signed-Rank Test에 따르면, 회유성 어류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p<0.05), 횡단구조물 에 대한 생물학적 개선효과를 보였다. 한편, Mann-Kendall trend test 기반의 회유성 어류의 연별 변화는 유의한 수준 (p>0.05)의 증가 혹은 감소의 경향은 확인되지 않았다. 따라서 어도의 개선 사업 시에는 물리적, 수리수문학적, 구조적 테스트뿐만 아니라 사전 및 사후의 어도이용 및 개선 효과에 대한 생물학적 시험도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사료 된다.

In 2020, South Korea initiated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 longitudinal connectivity evaluation between upstream and downstream based on stream ecosystem health. This study analyzed the migration of upstream and downstream migratory fish species, fish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trophic guilds, tolerance guilds, and species composition changes from 2015 to 2020 at Songrim weir in Yeongok stream, where the cross-structure of an ice harbor-type fishway for fish movement was recently improved. A total of 5,136 fish, including 36 species, were collected and three major migratory fishes were identified, namely, Tribolodon hakonensis, Plecoglossus altivelis altivelis, and Oncorhynchus keta.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analysis before (Pre-I) and after (Post-I) improvement of the fishway, the relative abundance of primary freshwater fish increased in the upstream section, while the number of migratory fishes decreased. The fish species that used the fishway in the Songrim weir were Tribolodon hakonensis (58.4%) and Plecoglossus altivelis altivelis (11.8%). According to the Wilcoxon Signed-Rank Test migratory fish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5) in the upstream and downstream, showing a biological improvement effect of the crossstructure. On the other hand, the annual change of migratory fish based on the Mann- Kendall trend test did not significantly increase or decrease (p>0.05). Therefore, in the fish passage improvement project, it is necessary not only for physical, hydrological, and structural tests, but also for pre- and post-biological tests on the use and improvement effect of fishway.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법
    1. 조사지점 및 조사시기
    2. 어류의 현장조사
    3. 어류의 생태길드 분석
    4. 통계 분석
결과 및 고찰
    1. 송림보 일대의 어류상
    2. 송림보 어도 개선 이전/이후 종 조성의 변화
    3. 어도 개선 이후 (Post-I)의 어류 종 조성
    4. 송림보 어도 개선 이후 트랩의 어류상
    5. 송림보 상류와 하류, 어도 트랩의 어류 종 조성의연별 분석
결 론
적 요
REFERENCES
저자
  • 윤영진((주)한국생태네트워크/충남대학교 생명시스템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Young-Jin Yun (Econet/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 Colleg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김지윤(충남대학교 생명시스템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Ji Yoon Kim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 Colleg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김혜진(충남대학교 생명시스템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Hye-Jin Kim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 Colleg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배대열((주)한국생태네트워크) | Dae-Yeol Bae (Econet)
  • 박구성(한국농어촌공사) | Gu Seong Park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 남창동(한국농어촌공사) | Chang Dong Nam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 임경훈(한국농어촌공사) | Kyung Hun Lim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 이문용(한국농어촌공사) | Moon-Yong Lee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 이승용(한국농어촌공사) | Seong-Yong Lee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 문경도(한국농어촌공사) | Kyeong-Do Moon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 이의행(한국농어촌공사) | Eui-Haeng Lee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 안광국(충남대학교 생명시스템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Kwang-Guk An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 Colleg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