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울릉도 농경지의 식물상 KCI 등재

Flora of crop lands in Ulleungdo Islan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864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한국환경생물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초록

화산섬인 울릉도는 내륙과는 다른 기후, 토양, 지형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농업 또한 차별화된 특징을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는 울릉도 농경지에 출현하는 식물종의 종조성 및 그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식물상 조사는 2016년 5월과 2020년 7월과 8월 총 3차례, 37개 지점에서 수행되었다. 그 결과, 울릉도 농경지에 출현하는 관속식물은 53 과 132속 160종 14변종 5아종, 1잡종으로 총 186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과별 분포현황은 국화과가 가장 많은 33 분류군을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벼과 25분류군, 마디풀과 12분류군, 콩과가 12분류군, 마디풀과 11분류군, 백합과 9 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울릉도 농경지에 출현하는 식물의 생활형 유형은 일년생식물-단립식물-중력산포형-직립형 (Th-R5-D4-e)으로 나타났다. 희귀식물로는 섬고사리, 섬기린초, 섬나무딸기, 섬바디, 섬쥐똥나무, 섬쑥부쟁이, 물엉겅퀴, 섬말나리, 왕둥굴레 등 9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생태계 교란 식물은 애기수영, 환삼덩굴 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13과 33속 44종 1변종으로 총 45분류군이 확 인되었고, 도시화지수는 13.9%, 귀화율은 24.2%를 나타냈다.

Ulleungdo, a volcanic island, has different climate, soil, and topography characteristics from inland of the Korean Peninsula. Its agriculture also exhibits distinctive features. This study focused on floristic compos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crop lands in Ulleungdo. Flora surveys were conducted for 37 areas three times, one in May of 2016, one in July of 2020, and one in August of 2020. Results showed that vascular plants of crop lands in Ulleungdo included 186 taxa of 53 families, 132 genera, 160 species, 14 varieties, five subspecies, and five hybrids. Asteraceae had the most diverse species (33 taxa), followed by Poaceae (25 taxa), Fabaceae (12 taxa), Polygonaceae (11 taxa), and Liliaceae (nine taxa). The biological type of crop lands in Ulleungdo island was determined to be Th-R5-D4-e type. Rare plants were found for nine taxa: Athyrium acutipinnulum Kodama ex Nakai, Sedum takasimense Nakai, Rubus takesimensis Nakai, Dystaenia takesimana (Nakai) Kitag., Ligustrum foliosum Nakai, Aster pseudoglehni Y.Lim, Cirsium nipponicum (Maxim.) Makino, Lilium hansonii Leichtlin ex D.D.T.Moore, and Polygonatum robustum (Korsh.) Nakai. In addition, 45 taxa contained naturalized plants of 13 families, 33 genera, 44 species, and one variety. Urbanization and naturalization indices were 13.9%, and 24.2%, respectively.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법
    1. 조사지 개황
    2. 조사방법
결과 및 고찰
    1. 식물상 및 생활형
    2. 특정식물
적 요
REFERENCES
저자
  • 김명현(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후변화생태과) | Myung-Hyun Kim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DA)
  • 홍선희(국립한경대학교 식물자원조경학부) | Sun-Hee Hong (School of Applied Science in Natural Resources & Environment,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 이용호(국립한경대학교 식물자원조경학부/오정리질리언스연구원) | Yong-Ho Lee (School of Applied Science in Natural Resources & Environment, Hankyong National University/OJeong Resilience Institute, Korea University)
  • 김민경(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후변화생태과) | Min-Kyeong Kim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DA)
  • 최순군(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후변화생태과) | Soon-Kun Choi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DA)
  • 어진우(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후변화생태과) | Jinu Eo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DA)
  • 엽소진(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후변화생태과) | So-Jin Yeob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DA)
  • 방정환(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후변화생태과) | Jeong Hwan Bang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DA)
  • 오영주((주)미래환경생태연구소) | Young-Ju Oh (Institute for Future Environmental Ecology Co., Ltd.)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