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도입부의 재도입: 멘델스존의 <무언가> KCI 등재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904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9,200원
음악이론포럼 (Music Theory Forum)
연세대학교 음악연구소 (Yonsei University Institute of Music Research)
초록

이 글은 멘델스존의 <무언가>에서 도입부가 본문 중에 재도입되는 경우들을 중점적으로 살펴본다. 필자는 편의상 <무언가>에 등장하는 도입부를 서주(prelude) 유형과 전주(introduction) 유형으로 나누어 본다. 독립적인 성격의 서주 유형은 테두리 기능의 도입부로서 본문에 그다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반면 전주 유형의 도입부는 본문 중에 그대로 또는 변형되어 재등장함으로써 형식적 단락구성과 전체적인 화성진행에서 특정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개별 곡의 분석을 통해 전주 유형의 도입부가 어떠한 방식으로 재등장하여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지 자세히 알아본다. 시작 단락(A)의 재등장을 앞두고 도입부를 소환하여 사용하는 경우 본문에서의 도입부는 재경과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21, 26, 34번). 또한 최종 단락의 종지적 마침을 앞두고 도입부가 끼어들어 등장하면서 단락 간의 오버랩이 일어나는 경우도 있다(16번과 27번). 한편 도입부의 동기가 중간(B) 단락 끝에 포함되어 등장할 때 올림박 기능의 도입부가 내림박 기능으로 재해석되기도 한다(12, 29번). 또한 화성적 연결구로서의 기능을 하는 도입부(15번)도 있다. 이러한 멘델스존의 독특하고 독창적인 도입부의 활용방식은 무엇보다 <무언가>의 장르적 특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무언가>라는 제목을 멘델스존이 스스로 고안해낸 것이라면, 그는 이 작품들을 진정으로 가사 없는 가곡으로서 간주한 것일 수 있다. 그래서 마치 가곡에서 전 주를 다루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도입부를 활용한 것으로 여겨진다.

The current paper investigates the pieces in Mendelssohn’s Songs without Words, in which the introduction is reintroduced in the later course of the work. The author classifies the introductions in 48 pieces of Songs without Words into two types: prelude and true introduction. The prelude type found in 7 pieces remains outside the main part and serves as a frame-like introduction. The true introduction type found in 10 pieces is more likely to reappear later in the main part and thus plays certain role in the overall harmonic progression and formal construction. Detailed analyses of the cases of true introduction type reveal Mendelssohn’s unique and innovative way of employing the introduction. The diverse roles performed by reintroduced introduction can be observed. For instance, the introduction which reappears preceding the return of the beginning theme, functions as true retransition (found in No.21-Op.53/3, No.26-Op.62/2, No.34-Op.67/4). Or, the introduction intervening just before the final concluding cadence of the piece results in the overlap between the sections (in No.16-Op.38/4, No.27-Op.62/3). Otherwise, the motive of the introduction recurs at the end of the middle contrasting section (B), and thus, its inherent upbeat function may be reinterpreted as a downbeat function (in No,12-Op.30/6, No.29-Op.62/5). Or a unique case of the introduction which participates in the harmonic progression of the middle section can be found in No.15-Op.38/3. Such a imaginative way of employing the introduction is supposed to be relevant to the genre of the work. If the composer himself had contrived the title, ‘Lieder ohne Worte,’ he might have conceived its pieces as true songs for piano. From this perspective, it can be speculated that he treated the introduction of the wordless Lieder in a way very similar to the introduction of the Lieder.

목차
1. 들어가는 글
2. <무언가>의 도입부 - 두 유형
    2.1. 서주 유형(prelude)
    2.2. 전주 유형(introduction)
3. 본문에 재도입되는 도입부의 기능
4. 전주 유형의 도입부를 갖는 악곡의 구체적인 사례들
    4.1. 시작주제의 재등장을 위한 재경과구의 역할(21번, 26번, 34번)
    4.2. 단락의 겹침현상을 초래하는 경우(16번, 27번)
    4.3. 전주의 올림박이 내림박으로 전환되는 경우(12번, 29번)
    4.4. 화성적 연결구로서의 역할(15번: Op. 38, No. 3)
5. 나가는 글
참고문헌
저자
  • 한미숙(한국예술종합학교) | Mi Sook H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