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글은 멘델스존의 <무언가>에서 도입부가 본문 중에 재도입되는 경우들을 중점적으로 살펴본다. 필자는 편의상 <무언가>에 등장하는 도입부를 서주(prelude) 유형과 전주(introduction) 유형으로 나누어 본다. 독립적인 성격의 서주 유형은 테두리 기능의 도입부로서 본문에 그다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반면 전주 유형의 도입부는 본문 중에 그대로 또는 변형되어 재등장함으로써 형식적 단락구성과 전체적인 화성진행에서 특정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개별 곡의 분석을 통해 전주 유형의 도입부가 어떠한 방식으로 재등장하여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지 자세히 알아본다. 시작 단락(A)의 재등장을 앞두고 도입부를 소환하여 사용하는 경우 본문에서의 도입부는 재경과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21, 26, 34번). 또한 최종 단락의 종지적 마침을 앞두고 도입부가 끼어들어 등장하면서 단락 간의 오버랩이 일어나는 경우도 있다(16번과 27번). 한편 도입부의 동기가 중간(B) 단락 끝에 포함되어 등장할 때 올림박 기능의 도입부가 내림박 기능으로 재해석되기도 한다(12, 29번). 또한 화성적 연결구로서의 기능을 하는 도입부(15번)도 있다. 이러한 멘델스존의 독특하고 독창적인 도입부의 활용방식은 무엇보다 <무언가>의 장르적 특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무언가>라는 제목을 멘델스존이 스스로 고안해낸 것이라면, 그는 이 작품들을 진정으로 가사 없는 가곡으로서 간주한 것일 수 있다. 그래서 마치 가곡에서 전 주를 다루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도입부를 활용한 것으로 여겨진다.
        9,200원
        2.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s the opening stage of English class in the elementary school. It specifically explores the significant features of the interactions among teachers and students. A non-native Korean English teacher, a native English teacher, and 25 elementary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wenty-three opening parts of the English classes were collected, transcribed, and analysed for the study. Data analysis showed that 1) the openings consist of greetings, reviewing, promoting motivations, and giving class objectives, 2) students had authentic communication, in that they moved out of the I-R-F sequence and even took the lead in the conversation as in Waring (2009)’s study, and 3) there were three types of learner initiatives in the class opening, which were reported by Waring (2011). It is also worth while to note that students self-selected, volunteered to respond, and began a sequence on the assigned turn regardless of their English competence. Some implications were suggested for meaningful interactions in the opening stage of English class in the elementary school.
        7,000원
        3.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행 정재에서는 도입부와 종결부에 죽간자가 구호를 부르고 물러난 다음 전체 무원이 무 진· 무퇴할 때 두 팔을 옆으로 펴 들고 나아갔다가 다시 물러나는 춤으로 공통되게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를 『악학궤범』에 수록된 당악정재를 중심으로 내용을 확인하였을 때 다음 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당악정재 14종의 도입부와 종결부에 추어진 춤사위는 모두 ‘염수·염수족도·절화무·사수 무·팔수무·퇴수무· 협수무’이다. 도입부와 종결부로 구분하여 무진· 무퇴할 때의 춤사위를 살 폈을 때, 도입부에서 무진할 때에는 절화무· 염수· 염수족도를 추었고, 무퇴할 때에는 염수· 사 수무· 팔수무를 추었다. 그리고 종결부에서 무진할 때에는 염수족도· 협수무를 추었고, 무퇴할 때에는 사수무와 퇴수무를 각각 추었다. 『악학궤범』과 현행 정재의 내용을 비교하였을 때 도입부와 종결부에서 무원들이 무진· 무퇴 할 때의 춤사위가 고정된 것이 아니었다. 정재마다 도입부와 종결부의 무진· 무퇴의 춤사위가 구분되어 차이가 있었고, 중요한 것은 정재마다 도입부의 무진과 무퇴, 그리고 종결부의 무진· 무퇴의 춤사위가 다른 것을 알 수 있었다.
        5,2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