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수학과 관점에서 본 중학교 사회과 교과서 통계 그래프 자료 분석 KCI 등재

A Study on Statistical Graphs of Textbooks in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from a Mathematical Point of View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916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교원교육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Center For Education Research)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사회과 교과서에 등장하는 통계 그래프들을 수학과와 비교하여 특징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중학교 사회1, 사회2 교과서에 등장하는 통계 그래프에 대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사회과 교과서에 등장하는 그래프의 종류 등의 형태적 특징을 살펴보았고, 내용적 측면으로는 요구되는 그래프 이해 수준을 수학과와 비교해 보았으며 그래프를 올바르게 해석하는 데 사용되는 수학 개념들의 수학과 교육과정에서의 학습 시기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사회과 교과서에 등장하는 통계 그래프의 종류별 빈도는 막대그래프, 복합그래프, 꺾은선그래프 순으로 나타났다. 수학 교과서에서는 다루지 않는 그래 프들도 다수 존재하였고. 정형화된 형태의 그래프보다는 시각적인 효과를 극대화하는 그래프들을 많이 볼 수 있었다. 둘째, 양 교과의 통계 그래프 과제에 대해 그래프 이해 수준을 비교한 결과 사회과 교과서에는 자료 안쪽 읽기, 자료를 초월하여 읽기 수준에 해당하는 질문이 대부분이었고, 수학과 교과서에서는 자료 밖 읽기 수준, 자료 안쪽 읽기 수준에 해당하는 질문이 대부분이었다. 셋째, 사회과 교과서의 통계 그래프를 해석하는 데 필요한 수학 개념에 대하여 수학과 교육과정과의 지도 시기를 비교해본 결과 지도 시기가 대부분 적절하게 이루어졌으나 일부 개념은 수학과 교육과정보다 앞서 등장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raw implications for teaching statistical graph by looking at the statistical graphs covered in the textbooks for the social studies, which are the most frequently used statistical graphs among other subjects. To do this, 322 statistical graphs were analyzed in each of the five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1 and 2 textbooks. We looked at the morphological features, such as the type of graph. In terms of content, the required level of graph understanding was compared between textbooks of social studies and mathematics through questions presented with the statistical graphs, and then the mathematical concepts used to correctly interpret the graph and the timing of learning in the curriculum were analyzed. The results for our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requencies of statistical graphs in social studies textbooks were shown in the order of bar graphs, composite graphs, and line graphs. There were considerable statistical graphs which were not dealt with in the math textbooks. In addition, compared to math textbooks, which are mostly formalized, graphs that maximized visual effects were present in many social studies textbooks. Secon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the graphs between the two subjects, most of the questions in the social studies textbooks corresponded to the level of ‘reading the inside of the graph’, ‘reading above and beyond the graph’, and most of the questions in the math textbooks corresponded to the level of ‘reading the outside of the graph’ and ‘reading the inside of the graph’. Third, we found that the timing of guidance was mostly appropriate, but some graphs showed that the correlation and scatter plot concepts appeared to be ahead of the math curriculum.

목차
<< 요 약 >>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통계 그래프
    2. 그래프 이해 수준
    3. 수학과와 타 교과간의 연계성 연구
    4.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1. 연구 대상
    2. 연구 방법 및 분석 기준
Ⅳ. 연구 결과
    1. 사회 교과서 통계 그래프 특징 분석
V.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한성수(강일중학교) | Han Seong Soo (Kangil Middle School)
  • 윤영주(한국교원대학교) | Yoon Young Joo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