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존 녹스는 왜 여성 통치를 반대했을까?: 『여인들의 괴상한 통치에 반대하는 첫 번째 나팔 소리』(The First Blast of the Trumpet against the Monstrous Regiment of Women, 1558)를 중심으로 KCI 등재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9291
  • DOIhttps://doi.org/10.22254/kchs.2021.59.0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韓國敎會史學會誌 (한국교회사학회지)
한국교회사학회 (The Church History Society in Korea)
초록

16세기 인물인 존 녹스는 스코틀랜드 종교개혁을 제도화시킨 종교개혁자다. 녹스는 다수의 설교, 편지, 중요한 저작들을 남겼는데 그 중에서도 많은 반대를 일으킨 문제작이 1558년에 출판한 『여인들의 괴상한 통치에 반대하는 첫 번째 나팔 소리』이다. 이 글은 잉글랜드 여왕 메리 튜더의 통치를 무력화시킬 목적으로 작성되었지만 여성 혐오와 여성 통치 반대를 일반화시킨 글 전개로 녹스에게 여성혐오주의자라는 악명을 남겼다. 이에 본 논문은 녹스가 『첫 번째 나팔 소리』를 쓰게 된 시대적 배경을 기술하고 그 구체적인 내용을 소개함으로써 이 책의 핵심이 ‘여성 혐오’가 아니라 우상숭배적인 여성 ‘통치자’ 반대라는 것을 밝히려고 한다. 또한 『첫 번째 나팔 소리』 밖의 녹스가 여성 통치자들과 주변 여성들에게 쓴 편지를 살펴보면서 여성 통치자를 인정하고 여성을 존중했던 역사적 녹스를 소개하고자 한다.

John Knox, a 16th-century man, was a reformer who institutionalized the Reformation of Scotland. Knox left a number of sermons, letters, and important works, including The First Blast of the Trumpet Against the Monstrous Regiment of Women, published in 1558, which caused many objections. This article was intended to neutralize the rule of Mary Tudor, Queen of England, but let Knox have gained notoriety as a misogynist with the development of a generalization of misogyny and opposition to women's rule. In response,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background of Knox's writing of The First Blast and introduce its details, so as to reveal that the core of the book is not "misogyny" but opposition to idolatrous women "rulers". Also, this paper introduces the historical Knox, who recognized female rulers and respected women, by exploring Knox's letters to female rulers and women around him besides The First Blast.

목차
Ⅰ. 서론
Ⅱ. 『첫 번째 나팔 소리』가 등장하게 된 시대적 배경
Ⅲ. 『첫 번째 나팔 소리』의 내용과 여성 통치의 문제점
    1. 본성적으로 혐오스러운 여성 통치
    2. 하나님이 반대하시는 반성경적 여성 통치
    3. 교부들도 반대하는 여성 통치
    4. 성경, 의회의 동의, 사회적 관습은 여성 통치를 지지하지 않는다.
    5. 잉글랜드 귀족들이여, 잔혹한 이세벨인 메리 튜더에 저항하라.
Ⅳ. 존 녹스는 실제로 여성혐오주의자였을까?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국문초록
저자
  • 김지혜(장로회신학대학교) | Kim Ji Hye (Presbyterian University and Theological Semin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