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도시녹지공간과 녹지시설 조성 기준설정을 위한 도시공간 유형화 KCI 등재

Urban Space Classification for Green Space and Facility Planni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935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본 연구는 도시공간 유형별 특징을 구분하고 각 유형별 적용가능한 녹화시설을 도출하기 위해 도시의 대표적인 공간을 선정하고 형태적 특징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용도지역별 형태적 특징을 잘 나타낼 수 있는 지역을 선정하고 각 지역을 형태적 특성에 따라 구분하였다. 구분된 도시공간 유형별로 주거, 상업, 공업, 공공시설, 교통, 공원 시설에 대한 구조 분석을 실시 하였다. 또한 이를 기반으로 하여 각 공간별로 녹화시설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도시 공간을 형태적 특징에 따라 도시외곽, 일반도시, 도심, 도심코어로 구분하였으며, 도 시외곽지역과 일반도시지역은 용도에 따라 주거, 상업, 공업으로 구분되고 도심지역은 주거와 상업으로 구분되고 도심코어지역은 혼합용도로 구분할 수 있었다. 각 공간별로 시설요소를 분석 한 결과 건축물의 형태와 밀도에 따라 공간에 대한 형태적 특징을 구분할 수 있었다. 또한 공간별 로 녹화시설의 적용 가능성을 분석한 결과 공간적 특성인 밀도에 따라 녹화시설의 적용 가능성과 효율성이 구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변화되고 있는 도시의 형태와 다양해지고 있는 녹화시설의 기술에 맞는 도시공간별 녹화기준을 마련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representative urban areas were analyzed to classif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urban space and to derive greening facilities applicable to each type. For this, areas that can represent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each area of use in Seoul were selected and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location and density of residential, commercial, industrial, public facilities, transportation, and park faciliti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lassified urban space types. Also, based on this, the applicability of greening facilities for each space was derived. As a result, urban space could be classified into an urban edge, general urban, central urban, and urban core according to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classifying facility elements for each space, it was possible to classify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according to the shape and density of the building.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pplicability of greening facilities for each space, it was found that the applicability and efficiency of greening faciliti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ensity, which is a spatial characteristic.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green space planning guideline for changing urban form and technology on green space facilities.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서론
2. 연구방법
3. 결과 및 고찰
    3.1 대표지역 선정 및 도시공간 유형화
    3.2 도시공간 유형별 시설
    3.3 도시공간 유형별 적용 가능 녹화 시설
4. 결론
References
저자
  • 양병선(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축연구본부) | Byungsun Yang (Building Research Department,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 김효민(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축연구본부) | Hyomin Kim (Building Research Department,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