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쇠퇴항만 재생사업 분석을 통한 수변공간 계획특성에 관한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Planning Characteristics of Waterfront through the Analysis of Redevelopment Projects in the Deteriorated Por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935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본 연구는 항만도시의 노후화된 수변공간을 경쟁력 있는 도시환경으로 전환시키기 위해 통영(봉 평지구)의 도시재생사업과 부산(북항)의 항만재개발사업의 계획을 분석하여 수변공간의 계획특 징을 파악하고 경쟁력 제고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은 사례연구를 통해 활성화 방안에 대한 분석의 틀과 시사점을 도출한 다음, 도시재생과 항만재개발 사업계획을 비교분석하여 수변공간계획의 특성과 문제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 째, ‘접근성’ 향상방안이다. 배후지역과의 일체적 활성화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가로 및 수로 정비가 필요하며, 수변지역으로의 접근성 보완은 방파제 활용으로도 가능하다. 수상교통을 활용한 마리나 도입도 광역적 접근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정체성’ 확립방안이다. 항만의 입지적 특성을 살려 자연환경과 기능을 상실한 산업공간을 활용한 문화공간 재생은 가장 경쟁력 있는 기능공간이 되고 있다. 이러한 문화공간이 지역특성 및 역사적 자산과 연계되면 도시 정체성이 한층 강화 된다. 셋째 ‘상징성’ 강화방안이다. 랜드마크가 기존의 지역자산과 결부되는 경우 정체성이 한층 강화된다. 기존 자원을 활용하여 상징성을 강화하기에 한계가 있는 경우에는 새로운 랜드마크 조성도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in Tongyeong (Bongpyeong district) and the port redevelopment project in Busan (North Port)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waterfront space and seek ways to enhance competitiveness. The research method derived the framework and implications of the analysis of the revitalization plan through the case study, and then presented improvement methods for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the waterfront space plan in the port regeneration project in Korea.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a measure to improve 'accessibility'. In order to enhance integrated activation with the background area, street and waterway maintenance is necessary, and supplementation of accessibility to the waterfront area can also be made by using breakwaters. Secondly, it is a way of establishing 'identity'. Based on the location characteristics of the port with a good natural environment, cultural space regeneration using industrial space that has lost its function is becoming the most competitive functional space in the city. When these cultural spaces are linked to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historical assets, urban identity is further strengthened. Third, it is a measure to strengthen 'symbolism'. If landmarks are linked to existing local assets, their identity will be further strengthened. If there is a limit to strengthening symbolism by utilizing existing resources, it is also necessary to create a new landmark.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연구방법
    3.1 연구대상
    3.2 연구의 흐름
4. 결과 및 고찰
    4.1 사업계획 개요
    4.2 도시재생 및 항만재개발 계획특성 비교분석
    4.3 분석결과에 따른 개선방안
5. 결론
References
저자
  • 이양우(국성건설엔지니어링) | Yangwoo Lee (Kuksung Engineering Consultants Co., Ltd.)
  • 곽희종(국토교통부) | Heejong Kwag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