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oderating Effect of Hope in the Related that between the Future-Time Perspective and Subjective Well-Being of Baby Boomer
본 연구는 베이비부머를 대상으로 미래시간조망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희망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D시의 베이비 부머(1955~1963년생)에게 면접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380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9.0과 PROCESS macro 3.3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각 변인 간 상관관계분석, 희망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래시간조망은 주관적 안녕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래시간조망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희망의 조절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베이비부머의 미래시간조망을 확장함으로써 주관적 안녕감을 높일 수 있고, 미래시간 조망 확장수준이 낮더라도 희망을 다양한 경로로 활용한다면 주관적 안녕감을 높일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러한 통합적 경로확인을 바탕으로 베이비부머의 주관적 안녕감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였다.
The aims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hop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uture-time perspective and subjective well-being for baby boomer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performed on baby boomers (1955–1963) in D city by face to face and a total of 380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19.0 and PROCESS macro 3.3 statistical program to analyze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each variable, and regression analysis to find out the moderating effect of hop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uture-time perspectiv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subjective well-being.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hop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uture-time perspective and subjective well-being.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ubjective well-being can be enhanced by expanding the future-time perspective of baby boomers, and subjective well-being can be enhanced if hope is utilized in various routes even if the level of future time perspective expansion is low. Based on this integrated path confirmation, various methods were sought to enhance the subjective well-being of baby boom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