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떠도는 땅에서 재현되는 복수의 목소리들과 요셉의 목소리로 구 현되는 성경의 서사를 겹쳐 읽고, 고난으로 수렴되는 이주(난민) 서사 속에서 그것을 회복할 수 있는 희망의 가능성을 진단해 본 것이다. 떠도는 땅에 재현 되는 복수적 중층적 목소리에 겹쳐지는 성경의 이주 난민 서사들은 ‘떠도는 존 재’로서 인간의 문제와 민족 너머 인류 보편의 이주 서사로 수렴된다. 또한 복 수의 목소리가 던지는 질문들은 성경의 욥의 서사를 통해 고통과 죄의 문제로 나아간다. 결론적으로, 떠도는 땅과 성경을 겹쳐 읽는 과정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복수의 목소리들은 이주 난민들의 고통과 그들에 대한 우리의 자세를 숙고하게 한다. 고통에 처한 자에게 조건 없이 환대하고 그들의 곁에서 연대하 며, 고통의 실체와 연원에 대한 목소리들(혹은 증언들)을 기록하는 행위는 고통 가운데서 발견할 수 있는 희망의 가능성이다.
본 연구는 베이비부머를 대상으로 미래시간조망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희망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D시의 베이비 부머(1955~1963년생)에게 면접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380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9.0과 PROCESS macro 3.3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각 변인 간 상관관계분석, 희망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래시간조망은 주관적 안녕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래시간조망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희망의 조절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베이비부머의 미래시간조망을 확장함으로써 주관적 안녕감을 높일 수 있고, 미래시간 조망 확장수준이 낮더라도 희망을 다양한 경로로 활용한다면 주관적 안녕감을 높일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러한 통합적 경로확인을 바탕으로 베이비부머의 주관적 안녕감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였다.
Elder consumers are important consumer segment because of baby boomers and incoming aging societies in many countries. MacInnis and Mello (2005) indicate that hope is an important construct to influence consumer decisions. For many elder people who rely on others to lead a life gradually lose control of making consumption decision for themselves. If autonomy is one of the important value for elder people as Leventhal (1997) proposed, the moderating effect of decision autonomy to counterbalance the effect of hope is discussed in this study if it can enhance elder consumers’ SWB. This study firstly explored the antecedent factors of hope by adopting subjective evaluation from elder consumers. Then, hope was further manipulated in terms of goal importance and goal uncertainty to investigate the mechanism on consumption decision and SWB. A between-subjective experiment manipulated hope in two dimensions, goal importance (high / low) and goal outcome certainty (certainty / uncertainty), invited 142 consumers aged above 65 years old to participate. Result indicates that better mental health and financial ability as well as younger cognitive age relate to the hope of elder consumers and influence SWB. Hope is partially the psychological mechanism to influence more on SWB. Decision autonomy is not found its moderating effect on hope to SWB.
찬송가는 유럽 전통 음악에서 발전하여, 개신교 예배 안에서 오랜 시간 불려 왔다. 그러나 현 재 CCM, CWM과 같은 기독교 음악이 주를 이루어, 젊은 세대들은 찬송가를 단조로운 음악으로 본 다. 그래서 CCM 아티스트와 CWM 팀 등이 기존 찬송가를 동시대에 유행하는 장르를 차용해 리메이 크 하고 있다. 찬송가 및 리메이크 찬송가는 동일한 선율의 곡을 가사만 달리하여 반복하기에 곡 의 기승전결을 위한 악기 앙상블과 보컬 합창의 역할이 중요하다. 본 논문은 주선율에 보다 직접 적인 영향을 주는 보컬 합창만 분석한다. 국내 CWM이 발표한 리메이크 찬송가 중 아카펠라와 합 창, 백그라운드 보컬의 특징을 모두 포함한 온누리워십의 ‘이 몸에 소망 무언가’를 선정하였으 며 곡 형식 반복에 따른 합창 배치와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보컬 합창이 반복에 따른 합창 배치와 구조, 비화성음 수식으로 곡에 기승전결을 더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Divergence time estimation over a robust phylogeny is a prerequisite for understanding their evolutionary biology. Recent empirical studies have found that molecular dating analyses are critically affected by the number and temporal distribution of fossil calibration points (Yang & Yoder, 2003; Hug & Roger, 2007), the interpretation of relationships between fossil and extant taxa (Benton & Ayala, 2003; Donoghue & Benton, 2007), and how fossil constraints are treated (Magallón, 2004; Ho & Phillips, 2009). Confident dating thus requires multiple fossils that are securely identified and of sufficient age. We provide a list of lepidopteran fossils potentially useful for calibration points, and end on the perspective for dating the currently working phylogeny of Lepidoptera (Regier et al., 2013), using these fossils. In addition, we show microtomographic images for some lepidopteran fossils that we are currently working on.
Monochamus saltuarius is one of the insect vector of pine wilt disease with Monochamus alternatus.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dose to induce sterile and the effect of sterility according to the gender of M. saltuarius. As the electron beam irradiation dose increased, the hatchability, adult eclosion rate and longevity of the former mid and late maturation feeding stage of adults was slightly reduced.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adults. In addition, female adults were more sensitive to the electron beam than the male adults. Hatchability of the F1 generation of ♂T × ♀N o r♀T × ♂N (T: 200 Gy electron beam irradiation, N: 0 Gy) was completely suppressed. As electron beam irradiation dose increased, the fecundity of female adults were slightly decreased. Results by comet assay showed that electron beam irradiation induced as dose increased DNA damage in M. saltuarius adul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IT using electron beam may be useful for control of M. saltuarius.
Since first reported in 1988 the Pine Wilt Disease has been established and spreaded nearly nationwide in South Korea, causing tremendous economic damage in pine forests. The pine wilt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causing the Pine Wilt Disease, in Korea is known to be transported by two insect vectors that are Monochamus alternatus Hope and Monochamus saltuarius Gebler. Currently the pest management strategy largely relies on pesticide application and infected tree clearing.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search for early larval parasitoids of M. alternatus using the sentinel log infested with the cerambycid eggs. Only one braconid species was collected and identified as Spathius verustus Chao. Two to ten wasp larvae attached and fed on one host larva. Parasitism rate was 55.5 to 59 % in Jinju site, while 1 to 18.1 % the other sites. Sex ratio was female-biased (female : male = 18.9 : 1). The S. verstus has potential to be use as parasitic natural enemy of M. alternatus.
Monochamus alternatus is one of the insect vector of pine wilt disease with Monochamus saltuarius.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dose to induce sterile and the effect of sterility according to the gender of M. alternatus. As the electron beam irradiation dose increased, the longevity of the mid and late maturation feeding stage of adults was slightly reduced.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adults. In addition, female adults were more sensitive to the electron beam than the male adults. Hatchability of the F1 generation of ♂T×♀N or ♀T×♂N (T: 200 Gy electron beam irradiation, N: 0 Gy) was completely suppressed. As electron beam irradiation dose increased, the fecundity of female adults were slightly decreased. Results by comet assay showed that electron beam irradiation induced as dose increased DNA damage in M. alternatus adul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IT using electron beam may be useful for control of M. alternatus.
The pine wilt disease that blocks the path for water and nutrition in pine trees is caused by the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Nematoda: Aphelenchoididae). The nematode relies on the longhorn pine sawyer beetle Monochamus alternatus and Monochamus saltuaris (Coleoptera: Cerambycidae) as vectors. Recently, 2-(undecyloxy)ethanol was identified as a male-produced aggregation pheromone of Monochamus speci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2-(undecyloxy) ethanol along with host plant volatiles -pinene and ethanol on attracting M. alternatus at a pine forest in Pohang, Korea from May, 2014 to July, 2014. To sustain the volatility of 2-(undecyloxy)ethanol and host plant volatiles, a superabsorbent polymer based on polyacrylic acids and water were added to the pheromone mixture. A total of 46 M. alternatus were collected from two field bioassays. Our results indicate that 2-(undecyloxy)ethanol is effective in attracting M. alternatus in Korea. Our study suggests that the aggregation pheromone could be used for detection and population monitoring of the beetles as well as for the effective mass trapping in outbreak situation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meaning and function of the two psychological verbs ‘想(xiang)’ and ‘要(yao)’ meaning ‘hope.’ ‘想’ and ‘要’ are the two widely used words meaning ‘hope’ and are the most commonly used vocabularies. These two words can be interchanged when used to mean ‘hope’ but sometimes it is impossible to replace one another. Therefore, if both ‘想’ and ‘要’ have the meaning of ‘hope’ as their meaning and the purpose vary. This research tries to examine the meaning and use of ‘想’ and ‘要.’
The method of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meaning and the role of the two psychological verbs meaning ‘hope’, ‘想’ and ‘要’ is done in the following ways; Firstly, this research looks into the definition of the words ‘想’ and ‘要’ and analyzes the semantic feature of them. Through this examination it was identified that ‘想’ has meaning of ‘hope’ but ‘要’ has features of ‘hope’ as well as ‘willingness’ and ‘duty/responsibility.’ Secondly, based on the fact that common semantic feature of ‘想’ and ‘要’ is ‘hope’ but ‘要’ has ‘willingness’ and ‘duty/responsibility’ along with ‘hope.’ As a result, this study analyzes their functional difference in terms of restriction of the subject, subject person, and object.
Anoplophora isa moderate-sized genus with 36 species of woodboring cerambycid beetles that occur throughout Asia, with the highest diversity in the tropical and subtropical region.
Two species, A. chinensis (Forster) and A. glabripennis (Motchulsky) are known in the Korean peninsula. The latter is an infamous invasive species, commonly called the Asian longhorned beetle, in the U.S. causing economic damage on hard woods.
For the present study, we carried out field surveys from 2010 to 2013 and literature review on the host plants of Korean Anoplophora species.
A. chinensis is associated with 14 host plant species in 4 families and A. glabripennis 17 species of 11 families. Most importantly, the Manchurian striped maple, Acer tegmentosum Maxim. (Aceraceae), is newly recognized as a host of the Asian longhorned beetle.
In the present study, a revised host plant checklist of Korean Anoplophora species is provided, with correction of scientific and Korean names of the host plants.
우리나라 소나무재선충병(Pine Wilt Disease)은 1988년 부산 금정산 지역을 중심으로 최초 발생된 이후 최근까지 피해지역이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크기가 1mm 미만의 실처럼 생긴 소나무재선충(Bursaphelenchus Xylophilus)이 소나무의 수분과 영양 이동 통로인 가도관을 막아 소나무를 말라 죽게하는 병으로, 선충 스스로는 이동할 수 없고 반드시 매개충(carrying insect) 이동에 의해서만 감염이 되기 때문에 솔수염하늘소 성충이 건전한 소나무 가지의 신초를 갉아먹는 후식(Maturation feeding)을 할 때와 산란을 할 때 생기는 수피의 상처 부위를 통해서 건전한 나무로 옮겨진다. 소나무류는 재선충에 한번 감염되면 대부분 3개월 이내에 완전 고사되며 매개충은 이들 고사목에 다시 서식하는 공생관계(symbiotic relationship)를 유지하기 때문에 소나무재선충병의 발생 및 확산은 소나무 임분내 입지환경 및 임분조성, 매개충의 서식환경이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따라서 소나무재선충병 피해임지와 피해발생 우려지역의 소나무림 임분구조 분석과 임분상태를 파악하고 간벌 방법별 매개충 서식밀도와의 관계를 구명함으로서 생태적으로 안정되고 건전한 소나무 임분관리, 소나무재선충병 확산방지에 적합한 임업적방제 임분시업 기술 개발을 위하여 입지환경에 따른 임분시업별 실연시험지를 2006년과 2007년에 각각 2지역에 조성하였다. 추기와 춘기에 간벌된 지역에서의 간벌목에 대한 매개충 침입공수는 춘기 처리구가 63개로 가장 많았으며 산란 개체목에서의 성충 탈출공 발생수 역시 46개로 가장 높았다. 간벌시기별 매개충 유충 발생율은 춘기가 평균 35.8%로 가장 높았으며, 추기 간벌기인 11월과 10월 처리구가 각각 20.0, 14.8% 순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산란 개체목 경급별 유충 발생율은 15cm이상에서 5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임내 산물 위치별 매개충 서식 밀도는 산록부가 39.5%, 산복부 35%, 산정이 25.0%순으로 산록부에 매개충의 산란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간벌시기에 따른 매개충의 산란은 춘기 처리구에서 높은 유충밀도 및 피해목 발생을 보이고 있어 향후 소나무재선충병 피해지 주변 선단지의 임분시업을 위해서는 춘기보다는 추기에 실시하는 것이 효과적 일것으로 사료된다.
소나무재선충병(Pine Wilt Disease) 방제법은 2000년대까지는 피해목을 벌채하여 소각하는 방법을 주로 이용하여 왔으나 방제물량이 많아지고 밀생임분에서의 소각 공간 확보가 어려워 열해목이 발생하고 이동시에는 피해목을 완벽하게 수집할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소나무재선충병 감염목을 이동할 필요가 없고 현장에서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 방제가 가능한 훈증 방제법이 보급되어 주력 방제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훈증약제는 환경오염이나 인축에 피해가 있을 뿐 아니라 약제투입 약량에 따라 매개충이 피복소재를 뚫고 탈출할 수 있고 유효 천적도 동시에 제거되며 경관도 해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농약을 투입하지 않고도 매개충의 탈출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천적 등의 역할을 증대시키고 수분 유입 등으로 벌채목의 부패를 촉진시키어 매개충의 재 산란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경관도 크게 해치지 않는 소나무재선충병 방제 피복망을 선발 하였다. 피복망의 소재는 Multi filament 22합수 소재가 가볍고 저렴하며 재활용이 가능하므로써 매개충 방제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피복 후 1주일내에 매개충 90%이상이 치사되었고 이후에도 전혀 탈출이 불가능하였다. 또한 처리 후 2년이 경과하여도 망 훼손 및 매개충 탈출 흔적은 찾아 볼수 없었고 오히려 벌채목의 부패가 촉진되어 매개충 재 산란의 위험이 해소되었다. 제형으로는 벌채된 소나무량에 따라 현장에서 크기에 맞게 절단 피복 할 수 있는 두루마리(Roll) 형태가 가장 효율적이었다. 대량 생산시 망 크기, 제형 등을 수요자 임의로 조정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며, 기존 훈증방제법에 비하여 약 20%이상의 예산 절감 효과가 기대될 뿐만 아니라 환경 및 천적보호에도 기여 하므로서 소나무재선충병 방제에 효율적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Movement of adult Monochamus alternatus was investigated on young black pine, Pinus thunbergii, trees for about one month in a screen cage. Number of pine trees to which M. alternatus females and males moved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was 6.4±1.4 and 7.2±1.5 out of 15 trees, respectively. Adult females and males moved to 0.2±0.1 and 0.3±0.1 tree per day, respectively. A 74.6 and 80.7% of adult females and males moved at night (17:00-08:00) to other trees. After moving, most beetles (72.6% of females and 76.0% of males) stayed on the tree to which they moved for one to two days. Some beetles stayed for up to seven days.
연구자는 30여년을 교정일선 현장에서 교정의 과제를 고민해왔다. 2007년 이 후 서울지방교정청장과 2008년 6월부터 법무부 교정본부장의 역임은 그 고민의 일단을 실천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연구자는 2007년 ‘희망등대 프로젝트’를 기획하여 교정단계에서의 회복적 사법모델의 터전을 마련하였고, 이를 기초로 2009년 이후 2회에 걸친 출소예정자 취업박람회, 2009년 말부터 시행된 수형자 작업장려금의 피해자를 위한 기부제도 등 교정의 사회화를 위한 새로운 길을 모색해 왔다. 이는 교정의 궁극적 목적이 수형자의 교정교화를 통한 성공적인 사회복귀라는 점에서 교정행정은 더 이상 담장 안에서 수형자의 심리적 개선노력에 머물러 있어서는 안 된다는 시대적 요청이기도 했다. ‘희망등대 프로젝트’가 가해자-피해자-지역사회의 연대를 이루기 위한 거시적 틀이라면, 수형자 작업 장려금의 피해자를 위한 기부제도는 수형자를 교정의 객체적 지위에서 주체적 지위로 변환시킨 상징적 보상의 기회가 되어 기부에 참여한 수형자들은 기부를 통해 책임감있는 사회구성원이라는 자존감 회복 등 긍정적 자기관념이 형성되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출소예정자 취업박람회는 사회적 자원의 연대를 확인하고, 직업기회를 가져보지 못한 수형자들에게 직업관을 구체화시키면서 사회복귀 후 자신을 받아들일 수 있는 사회적 환경이 조성되어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하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회복적 교정프로그램은 사회적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수형자의 사회복귀에 자신감을 심어주었으며 교정기능의 사회화 등 교정의 새로운 발전모델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할 것이다. 향 후 교정행정은 이를 바탕으로 개방처우의 확대, 범죄인에 대한 국민의식의 개선, 보다 적극적인 교정프로그램을 통한 교정기능의 변화를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필라테스 운동참여자를 대상으로 운동정서와 낙관성 및 희망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필라테스 운동참여자 23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SPSS 15.0 및 AMOS 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 그리고 구조모형분석 등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필라테스 운동참여자의 운동정서는 낙관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중에서도 운동정서는 노력과 미래믿음에 보다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필라테스 운동참여자의 운동정서가 희망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필라테스 운동참여자의 낙관성은 희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낙관성은 희망의 하위요인 중 주도사고보다는 경로사고에 보다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대해서는 선행연구와 이론을 토대로 세부적인 논의를 전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