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젊은 성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스마트폰 사용 시간과 건성안 유병률 사이의 연관성
목적 :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젊은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스마트폰 사용 시간과 건성안 유병률 사이의 연관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안구건조증은 OSDI 설문지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안구 건조증은 OSDI 점수에 따라 경도(13~22), 중등도(23~32), 중증(33~100) 건성안으로 분류하였다.
결과 : 완성된 설문지는 총 282개를 받았지만, 기준에 맞지 않는 응답자를 제외하고 157개 설문지를 분석했다. 본 연구에서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응답자의 77%가 스마트폰 사용 시간이 증가하였고, OSDI 을 통한 안구 건조 진단결과는 98명(62.4%)이 정상, 30명(19.1%)이 경도, 16명(10.2%)이 중등도, 13명(8.3%)이 중증인 건성안으로 밝혀졌다. OSDI는 스마트폰 사용시간 증가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r=0.241, p=0.012).
결론 : 건성안 유병률은 157명 중 37.6%로 나타났고 안구건조증은 스마트폰 사용 시간의 증가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urpose :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smartphone use time and the prevalence of dry eye among young adults based on the questionnair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Methods : A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questionnaire with University students. Dry eye disease was assessed using the ocular surface disease index (OSDI) questionnaire. According to the OSDI score, dry eye was classified as mild (13~22), moderate (23~32), or severe (33~100). Results : A total of 282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received, but 157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except for respondents who do not meet the criteria. In this study, during the COVID-19 pandemic, 77% of respondents spent more time using smartphones and the diagnosis of dry eye through OSDI was normal in 98 (62.4%), 30 (19.1%) were mild, and 16 (10.2%) were moderate and 13 (8.3%) were severe. OSDI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increase in smartphone use time (r=0.241, p=0.012).
Conclusion : Prevalence of dry eye was considered at 37.6% of 157 respondents. Dry eye disease was found to be associated with an increase in smartphone usage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