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Ocular Complications Caused by Zika Virus Infection KCI 등재

지카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눈 합병증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987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지카바이러스(ZIKV) 감염이 눈에 미치는 다양한 합병증을 제시하여 ZIKV 감염 예방의 중요성을 알리고자 연구하였다. ZIKV는 1952년 인체에서 처음 발견되었고, 2016년 브라질을 중심으로 남아메리카 대륙에서 폭발적인 감염을 일으키며 세계의 주목을 받게 되었다. ZIKV에 감염된 성인의 80%는 무증상 감염자이고 임산부를 통해 수직 감염되어 신생아에는 소두증 및 선천적 안구 장애를 합병증으로 가질 수 있음이 보고되었다. 눈은 고유의 혈액-망막 장벽을 가지고 안구를 보호하는 면역특권 기관이지만 바이러스 저장소 역할을 하여 ZIKV가 눈의 합병증을 유발한다는 최근의 학계 발표에 주목하고 있다. ZIKV의 감염 경로에 대해서는 활발히 연구 중이지만 지금까지는 백신이 없고 특별한 치료법이 없어 미리 예방하는 것만이 감염을 차단하는 유일한 방법이다. 특히, ZIKV 감염증은 태아 감염을 통한 잠재적 매개 변수를 가지는 더 위험성이 있기에 정부 당국과 지방 자치에서는 지속적 감시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어 이 논문을 제시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form the importance of preventing zika virus (ZIKV) infection by presenting various ocular complications of ZIKV infection. ZIKV was first detected in the human body in 1952, and has attracting worldwide attention since it caused an explosive infection in South America, especially Brazil, in 2016. It has been reported that 80% of adults infected with ZIKV are asymptomatic and can be vertically transmitted through pregnant women, resulting in microcephaly and congenital ocular disorders in newborns. Although the eye is an immune-privileged organ that has an intrinsic blood-retinal barrier and protects the eye, it also serves as a viral reservoir, drawing attention to a recent academic announcement that ZIKV causes ocular complications. The route of transmission of ZIKV is being actively studied, but there is no conventional vaccine and no specific treatment so far. Thus, prevention is the only way to block the infection. In particular, since ZIKV infection has a risk of having potential parameters through fetal infection, it is determined that continuous monitoring by government authorities and local autonomy is necessary, so we would like to present this paper.

목차
Abstract
Ⅰ. 지카바이러스 소개
Ⅱ. 지카바이러스의 임상 보고
    1. 진단방법 중 혈청검사에서 보여주는 면역반응 지표
    2. 지카바이러스 감염과 눈 합병증
    3. 지카바이러스와 혈액-망막 장벽(BRB)과의 상호작용
Ⅲ. 연구의 필요성
Ⅳ. 결 론
References
요 약
저자
  • Jae-Sun Choi(극동대학교 임상병리학과) | 최재선
  • Jeong-Mee Kim(극동대학교 안경광학과) | 김정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