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대학생의 진로 집단프로그램의 참여효과 KCI 등재

A Study on the Participation Effect of College Students' Career Group Progra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0163
  • DOIhttps://doi.org/10.26734/JFE.2021.11.04.0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000원
미래교육연구 (The Journal of Future Education)
한국미래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of Future Edcation)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진로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진로 집단프로그램 참여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에게 진로 프로그램에 . 참여하였을 때 자기효능감과 진로장벽 인식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고, 학생들의 만족도와 경험에 대한 질적자료 분석을 통해 이해의 폭을 확장하고자 하였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장벽에 인식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분석 결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 중 자기평가(t=4.44, p=.000), 직업정보수집(t=4.37, p=.000), 목표 선택(t=5.49, p=.000), 미래계획(t=4.80, p=.000)의 모든 하위 요인에서 .001 수준에서 유의한 상승이 나타나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장벽의 하위요인 중 직업정보부족(t=-6.35, p=.000), 자기확실성부족 (t=-5.04, p=.000), 우유부단한 성격(t=-4.43, p=.000), 외적장애(t=-1.87, p=.07)에서 진로장벽에 대한 인식이 유의미한 감소가 나타났다. 참여자들의 만족도 분석의 결과에서는 프로그램 전체 만족에 대한 5점 리커드 척도에서 평균 4.84(SD=.37)로 만족도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참여성찰문 분석결과, 참여 학생들은 진로 탐색에 대한 요구와 자기개발과 성장에 대한 요구에 대한 프로그램에 참여하였고, 프로그램의 참여를 통해 진로에 대한 자기이해와 성찰을 통해 자신의 특성과 효과적인 진로에 대해 이해할 수 있었다. 또한 집단 구성원들과의 긍정적인 소통과 상호작용을 통해 정서적 지지를 받을 수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긍정적 효과와 경험이 사전-사후 효과분석, 만족도, 참여 성찰문 등에 반영되어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의 결과 대학과 재학생의 특성에 적합한 진로 집단프로그램의 효과적 운영을 위한 구체적인 자료를 얻는데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participation in a career group program to strengthen their career competency. For this purpose, in this study, we tried to find out what kind of changes in self-efficacy and career barrier perceptions when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a career program, and to expand their understanding through qualitative data analysis on students' satisfaction and experiences. As a result of pre-post difference analysis 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perception of career barriers, among the sub-factors of career decision efficacy, self-evaluation (t=4.44, p=.000), job information collection (t=4.37, p=.000) ), goal selection (t=5.49, p=.000), future planning (t=4.80, p=.000), and problem-solving (t=4.07, p=.000) were significant at the .001 level.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ositive effect. Among the sub-factors of career barriers, lack of job information (t=-6.35, p=.000), lack of self-assurance (t=-5.04, p=.000), indecisive personality (t=-4.43, p=.000) ,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perception of career barriers in extrinsic obstacles (t=-1.87, p=.07). As a result of the satisfaction analysis of the participants, the average of 4.84 (SD=.37) on the 5-point Likeard scale for overall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was very high. As a result of the participatory reflection analysis, the participating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understanding program in response to the demands for career exploration and self-development and growth, and through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self-understanding and reflection on their own characteristics and effective career paths. could understand about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emotional support was obtained through positive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with group members.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 effects and experiences of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were reflected in the pre-post effect analysis, satisfaction, and participation reflections. As described abov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ful in obtaining specific data for the effective operation of a career group program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universities and current student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2. 진로장벽
    3. 대학생 진로집단프로그램의 구성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연구절차
Ⅳ. 연구결과
    1. 프로그램의 효과
    2. 프로그램 만족도 분석
    3. 참여 성찰문 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문희정(충남대학교 교육학과 BK) | Moon Hee-Je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