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미학적 염원과 타나토스의 충동: 60년대 이청준 소설의 구원의식에 교합된 정신의학 지식과 비판미학 KCI 등재

Aesthetic Desire and Thanatos’ Impulse: Psychiatric Knowledge and Critical Aesthetics Interlocked with the Salvation Consciousness of Lee Cheong-jun’s Novels in the 1960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032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400원
문학과 종교 (Literature and Religion)
한국문학과종교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Literature and Religion)
초록

이 글은 60년대 이청준 소설을 프로이트 정신분석학과 아도르노 비판미학과의 관계 속에서 탐구하였다. 의학지식의 대중화를 통해 문학 분야에 적극 유입 됐던 프로이트 정신분석학과 한국 지식담론장의 비판인식에 영향을 끼쳤던 아도르노 비판미학이 어떻게 구조화되었는지를 탐구한 것으로 이를 통해 구원의 서사로서 이청준 소설이 갖는 의미를 해명하고자 했다. 이청준 소설은 이윤의 목적성에 훼손된 근대의 부정성을 공격하며 자본의 논리에서 자유로운 무목적적 미의 세계를 유토피아로 투시한다. 현실에 대한 분노를 가학적 공격성을 통해 표현하는데 여기에 문화지식이 중층적으로 개입된다. 타나토스의 본능을 위험한 충동으로 부정한 프로이트 정신분석학이 고통으로만 구원이 투시될 수 있다고 강조한 아도르노 미학을 경유하여 비판적으로 전유되고 있다. 소통과 화해 대신 분노와 불화를 통해 구원을 모색하는 것으로 격자소설 양식, 성찰적 서술자 운용, 거짓말과 말없음 등 전통 문법을 해체하는 형식적 고안들도 비판미학과 연결된다. 이를 통해 문화지식담론을 전유하며 유토피아를 희구한 이청준의 구원의식과 사회의식이 온당하게 이해되며 70년대 이후로 비판미학의 수용 시기를 진단한 연구도 재론될 수 있다. 이론이나 잡지와 함께 소설은 문화지식 수용의 텍스트로 의미를 가지며 그러한 점에서 60년대 이청준 소설은 아도르노미학 수용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salvation consciousness of Lee Cheong-jun’s 1960’s novels in the relationship with Freud’s Psychoanalysis and Adorno’s critical aesthetics. Lee’s novel attacks the reality dominated by the purpose of making profit. His novels attack reality complete with negativity by Thanatos’ impulse. In that anger, both cultural knowledges are intervened. Freud’s psychoanalysis, which denied the death drive as dangerous, is critically appropriated via Adorno’s aesthetic, which emphasized that salvation could only be possible through suffering. It seeks salvation through anger and discord instead of communication and reconciliation, the formal designs that deconstruct traditional grammar such as framed novel style, reflective narrator operation, and lies and silence are connected with critical aesthetics.

목차
Abstract
I. 이청준 소설의 정신 병리와 60년대 문화담론
II. 망실된 ‘아름다움’과 강박 신경증
III. 화해의 거부와 가학적 공격성
IV. 소통 (불)가능성과 ‘말’의 역사(役事)
V. 구원의 서사로서의 이청준 소설과 아도르노의 비판미학
Works Cited
국문초록
저자
  • 송인화(Liberal Arts at Hansei University) | Song In Hw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