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60년대 이청준 소설을 프로이트 정신분석학과 아도르노 비판미학과의 관계 속에서 탐구하였다. 의학지식의 대중화를 통해 문학 분야에 적극 유입 됐던 프로이트 정신분석학과 한국 지식담론장의 비판인식에 영향을 끼쳤던 아도르노 비판미학이 어떻게 구조화되었는지를 탐구한 것으로 이를 통해 구원의 서사로서 이청준 소설이 갖는 의미를 해명하고자 했다. 이청준 소설은 이윤의 목적성에 훼손된 근대의 부정성을 공격하며 자본의 논리에서 자유로운 무목적적 미의 세계를 유토피아로 투시한다. 현실에 대한 분노를 가학적 공격성을 통해 표현하는데 여기에 문화지식이 중층적으로 개입된다. 타나토스의 본능을 위험한 충동으로 부정한 프로이트 정신분석학이 고통으로만 구원이 투시될 수 있다고 강조한 아도르노 미학을 경유하여 비판적으로 전유되고 있다. 소통과 화해 대신 분노와 불화를 통해 구원을 모색하는 것으로 격자소설 양식, 성찰적 서술자 운용, 거짓말과 말없음 등 전통 문법을 해체하는 형식적 고안들도 비판미학과 연결된다. 이를 통해 문화지식담론을 전유하며 유토피아를 희구한 이청준의 구원의식과 사회의식이 온당하게 이해되며 70년대 이후로 비판미학의 수용 시기를 진단한 연구도 재론될 수 있다. 이론이나 잡지와 함께 소설은 문화지식 수용의 텍스트로 의미를 가지며 그러한 점에서 60년대 이청준 소설은 아도르노미학 수용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청준이 『축제』라는 작품을 통해서 등장인물들 사이의 사건이나 전개과정이 어떻게 카니발의 특성을 지닌 축제로 거듭나게 되는지에 대한 논의를 하고자 한다. 본질적으로 카니발은 제식이나 의례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죽음을 위한 축제의식을 수행하는 동안 참여자들은 죽음을 통한 삶의 변화 가능성을 모색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청준은 노인의 죽음을 소재로 축제가 지니고 있는 본질적 특성을 제시해주고 있다. 장례식이 진행되는 동안 용순의 출현은 가족들로 하여금 죽은 노인에 대한 원망과 가족들 사이의 갈등이 깊어지게 하는 요인이다. 이러한 갈등 및 대립 속에서 노인을 떠나 보내는 슬픔, 회한, 그리고 장례식장을 찾은 사람들의 웃음, 떠들썩한 난장, 그리고 무질서가 조화롭게 제시되면서 축제가 추구하고 있는 통합의 과정으로 나아가고 있다. 결론적으로 노인의 죽음을 매개로 고향집의 공간은 가족들 사이의 새로운 결속과 이해를 경험할 수 있는 공존의 공간이며, 동시에 진정한 축제로 거듭나게 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an essential problem which rulers fail to realize while pursuing the construction of a paradise and the reason why Chung-jun Lee describes negative aspects of paradise and power in Your Paradise. In this novel, Lee questions what real paradise is. He makes readers realize that most rulers who want to construct a paradise with their power and will do not perceive their insensibility about freedom and love. The writer suggests a fundamental questions about how the rule mechanism works in Sorokdo. In the end of this novel the director of an institution, Baek-heon Jo, realizes the importance of individual freedom, fellowship, and horizontal relationships for the realization of positive value through his elder Hui-baek Hwang’s advice. After all, Jo and Hwang experience reconciliation and forgiveness through the formation of sympathy between them. In conclusion, Lee emphasizes love and freedom for maintaining a horizontal relationships and learns that the paradise can only be accomplished through mutual cooper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종교에 있어서 용서의 본질에 대한 문제를 탐구하는 것이 다. 이청준은 자신의 소설에서 삶의 의미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는 경향이 있다. 『벌레 이야기』는 용서와 구원을 통해서 진정한 인간의 삶이 무엇인지를 독자들 에게 묻는다. 『벌레 이야기』는 관찰자가 각 장면을 선택하고 배열함으로써 사 건을 입증하는 방식을 취한다. ‘나’는 이 작품에서 발생하는 모든 사건들을 설 명하고, 검토한다. ‘나’의 증언에 따르면, 아내는 아이의 죽음을 잊어버리기 위 해서 종교에 귀의하지만, 무기력하게 종교의 희생자가 되었다. 『벌레 이야기』는 진정한 용서, 인간 존재, 그리고 인간의 존엄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 아 내는 고통스러운 현실을 잊어버리기 위해서 자살을 감행하지만, 그녀의 자살은 삶의 모든 것을 포기하는 것이 아니라, 그녀를 억압하는 관계와 현실로부터 도 피함으로써 현실에서 실존성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작가는 이 작품에서 억압적 이고 엄격한 종교를 제시하고 있다. 결국, 이청준은 인간 존엄성의 중요성과 도 덕적 가치에 바탕을 둔 양심을 강조하고 있다.
이 연구는 이청준의 글쓰기 과정을 리쾨르의 해석학적 관점에서 살펴보고, 이청준의 글쓰기 과정과 기독교의 구원과정의 상동구조를 해명하고 있다. 이청준은 정신적 이상을 다룬 소설들을 통해 자신의 문학적 테마를 추구한 작가이다. 그의 글쓰기는 심리적 외상에 대한 공포의 제거 과정으로 정신 속에 자리 잡은 혼돈의 상태에서 원초의 질서에 복구하고자 하는 지향이 나타난다. 이청준 은 소문의 벽 에 나타난 글쓰기 과정을 통해 존재의 증명이나 구원을 통한 회복과 치유가 가능하게 한다는 것을 확인시켜주고 있다. 트라우마에 대한 기억이 통제 불가능한 사건이 아니라 형태와 의미를 부여하여 자아를 재창조하고 개조 할 수 있는 기회가 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청준 문학에서 소문의 벽은 정신 적 외상의 뿌리를 드러내고 있다고 볼 때, 그의 병리적 증후에 대한 의미를 규명하는 중요한 연구가 될 것이다. 또한 이청준의 글쓰기는 과정에 천착하며 치 유를 향해 간다는 점에서 기독교의 구원과정과 닮아 있다. 이청준의 구원론은 신에 대한 일방적 복종을 통해서가 아니라, 인간의 주체적인 역할을 강조하는, 의지를 지닌 인간의 역할에 비중을 두고 있음을 드러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