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작업기반 임파워먼트 증진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회복탄력성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Effect of Occupation Based Empowerment Enhancement Program on Resilience and Life Satisfaction in Stroke Patien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034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ssistive Technology)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ssistive Technology)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재활병원에 입원중인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작업기반 임파워먼트 증진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회복탄력 성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단일군 사전-사후 비교검사 설계이다. 한국판 간이정신상태검사(MMSE-K) 로 대상자를 선별한 후 대상자 15명을 선정하였다. 임파워먼트 프로그램은 4주간, 주2회 30분씩 진행하였다. 중재 전·후 측정을 위한 도구로 임파워먼트 척도(Empowerment Scale), 한국형 회복탄력성 척도(Korean Version of Connor- Davidson Resilience Scale), 생활만족도조사(Life Satisfaction Survey)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version 21.0을 사용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기술통계, 작업기반 임파워먼트 증진프로그램 중재 전, 후 평균을 비교하기 위해 대응표본 t-test를 통하여 중재 전후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결과 : 첫째, 임파워먼트에 유의한 향상이 있었고, 자기존중-자기효능, 힘-무기력, 지역사회참여 및 자율성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회복탄력성에 유의한 향상을 보였으며 강인성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생활만 족도에 유의한 향상이 있었으며 의식주, 인간관계, 사회생활 및 여가생활, 행복감, 자율성 및 자아감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 작업기반 임파워먼트 증진프로그램은 뇌졸중 환자의 치료에 있어 임파워먼트와 회복탄력성, 생활만족도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며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중재법으로 작업치료 영역에서 고려해볼 수 있다.

Objective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occupation based empowerment enhancement program on resilience and life satisfaction in stroke patients at a rehabilitation hospital.
Methods : Targeting stroke patients, this study is based on one group pretest-posttest comparison design. For this study, 15 subjects were selected using the Korean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K). The occupation based empowerment program was applied for 30 minutes, twice a week, for 4 weeks. To measure the effect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the Empowerment Scale, the Korean Version of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and the Life Satisfaction Survey were employed. SPSS version 21.0 was used for data analysi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ere verifi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through the t-test of the corresponding sample to compare the average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of the technical statistics and occupation based empowerment enhance program.
Results :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empowerment a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self-esteem-self-efficacy, power-lethargy, community participation and autonomy. Second, resilience significantly improved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ardiness. Third, life satisfaction significantly improved a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necessaries of life, human relationship, social life and leisure life, happiness, and autonomy and sense of self.
Conclusions : The occupation based empowerment enhance program of this study is an intervention, which influences the improvement in empowerment, resilience and life satisfaction of stroke patients and thus needs to apply to occupational therapy.

목차
국문초록
I. 서 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기간 및 대상자
    2. 연구 설계 및 과정
    3. 중재 방법
    4. 측정도구
    5. 분석방법
Ⅲ. 연구 결과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중재 전 정규성 검정
    3. 임파워먼트 사전·사후 변화
    4. 회복탄력성 사전·사후 변화
    5. 생활만족도 사전·사후 변화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
  • 김다은(건양대학교 일반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Kim Da-Eu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The Graduate School, Konyang University)
  • 유두한(건양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Yoo Doo-ha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Konyang University) 교신저자
  • 김수경(건양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Kim Su-Kyoung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Konyang University)
  • 차태현(건양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Cha Tae-Hyu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Konyang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