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COVID-19 상황에서 평생교육 강사의 실시간 온라인 수업 경험에 관한 연구 KCI 등재

A Study Regarding the Synchronous Online Classes Experience of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043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교원교육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Center For Education Research)
초록

이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19로 인해 수업의 공백과 생활의 어려움을 겪었던 평생교육 강사들이 경험한 온라인 수업의 어려움과 이슈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충남 소재 G 평생교육기관 의 강사 5명을 기관으로부터 추천받아 면담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수업 준비 과정은 강사 개개 인에게 맡겨져 있었기 때문에 강사가 스스로 학습자를 파악하고, 수업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노력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 실행 과정에서는 강사가 학습자와 소통하고 수업의 몰입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해온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온라인 수업 환경에서 강사의 긴장도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학습자를 구경꾼으로 만들지 않기 위해 노력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수업 평가 과정에서는 교육활동에 대한 피드백이 대면 수업에 비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고, 평가를 통한 구체적인 환류 정보가 확보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평생교육 거점 기관에서는 강사들이 온라인 수업에 적절한 형태로 수업을 설계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는 점, 강사의 온라인 수업 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 온라인 환경에 적합한 평가 방법의 탐색과 적용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하였고, 개별 평생교육기관 차원에서는 원활한 수업 환경 조성 및 학습자들의 참여도 증진을 위한 사전 준비 지원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what kind of difficulties and issues were experienced by instructors in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who experienced a gap in classes and difficulties in life due to COVID-19 when suddenly faced with online class situations. To fulfill this purpose, five instructors from the G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located in Chungnam were recommended by the institution and interview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instructors made efforts to identify the learner on his/her own and create a class environment, because the class preparation process was entrusted to each instructor. The course execution process was shown to be one in which the instructor communicated with the learner and made efforts to increase the level of immersion in the class.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despite the unfamiliar and highly nervous online class environment, efforts were made not to turn the learner into a spectator. During the class evaluation process, feedback on educational activities was found to have decreased compared to face-to-face classes, and consequently, did not produce concrete information for achievement assessment.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the improvement tasks included support for instructors to re-design classes in appropriate formats for online classes, support for instructors' online class capabilities, and support for developmental evaluation in an online environment.

목차
요 약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온라인 수업의 전개: 비실시간에서 실시간 수업으로
    2. 온라인 수업 전환 과정의 이슈
Ⅲ. 연구방법
    1. 면담 대상자 선정
    2.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Ⅳ. 연구결과
    1. 수업 준비: 강사 개인에게 맡겨진 준비 과정
    2. 수업 실행: 소통과 몰입을 위한 노력
    3. 수업에 대한 평가와 요구: 수업 변화 필요성에 대한 뒤늦은 인식
Ⅴ.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김은경(공주대학교) | Kim Eunkyung (Kongju National University) 교신저자
  • 김나영(공주대학교) | Kim Nayeong (Kongju National University)
  • 오나비나(공주대학교) | Oh Navina (Kongju National University)
  • 김미정(공주대학교) | Kim Mijung (Kongju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