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국형 조건부면허 시행에 대비한, 해외 운전면허 가이드라인에 대한 고찰 : 미국을 중심으로

A Review of Overseas Driver's License Guidelines in Preparation for the Implementation of Korean-style Conditional Licenses: Focusing on the United Stat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145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한국운전재활·사회참여학회지 (Journal of driver rehabilitation and social participation)
한국운전재활학회 (The Korean Society of Driving Rehabilitation)
초록

서론 : 본 연구는 미국의 운전면허 가이드라인을 고찰하여 국내 조건부면허 제도의 개선에 사용 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 미국의 운전면허 제도에 대한 문헌을 중심으로 고찰 하였으며, 미국의 주 마다 시행하고 있는 운전면허 제도를 확인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 미국은 주 마다 면허 갱신제도와 시력검사, 시야검사, 제한면허의 종류, 차량 보조도구, 의료 및 운전 평가자, 면허 평가자 교육에 대해 다른 제도를 가지고 있으며, 운전 평가의 경우 많은 주에서 의사, 시력전문가 뿐만 아니라 재활전문가 또는 작업치료사에게 의뢰를 하고 있다.
결론 : 미국의 사례처럼 국내에서도 운전재활전문가로 작업치료사가 필요하며 이에 맞는 사회 제도적 방안과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 이다.

Introduction : This study aims to provide essential data that can be used to improve the domestic conditional license system by considering the US driver's license guidelines.
Method : A review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literature on the driver's license system in the United States. The driver's license system implemented in each state in the United States was identified and investigated.
Results : The United States has different weekly license renewal systems, vision tests, types of limited licenses, vehicle reporting tools, medical and driver evaluators, and license evaluators, and many states refer to rehabilitation experts or occupational therapists.
Conclusion : As in the case of the United States, an occupational therapist is required as a driving rehabilitation expert in Korea, and various studies should be conducted by conducting social and institutional measures and educational programs accordingly.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및 내용
    2. 연구 도구
Ⅲ. 연구결과
    1. 면허 갱신 제도
    2. 시력검사
    3. 시야검사
    4. 제한면허
    5. 차량 보조도구
    6. 의료 및 운전 평가자
Ⅳ. 고찰
Ⅴ. 결론
저자
  • 최성주(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Choi Sung-Joo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 오원준(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Oh Wonjun (Dept. of Physical Therapy,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교신저자
  • 함선미(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Ham Sun Mi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 김은진(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Kim Eun-ji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 한예빈(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Han Yebi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 정민예(연세대학교 소프트웨어디지털헬스케어융합대학 작업치료학과) | Jung Min-Ye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S/W Digital Healthcare Convergence, Yonsei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