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기독교 채식주의의 역사와 사회윤리적 담론 이해 KCI 등재

Understanding of the Socio-ethics Discourse in the History of Christian Vegetarianis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1497
  • DOIhttps://doi.org/10.22254/kchs.2021.60.0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韓國敎會史學會誌 (한국교회사학회지)
한국교회사학회 (The Church History Society in Korea)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기독교 채식주의 전통에 대한 역사적 연구에 기초하여 기독교 채식주의의 본질을 이해하고, 그 전통에 내포된 사회윤리적 담론을 고찰하는 것이다. 기독교의 식생활 관행에서 육식 금지의 전통은 수도사들의 금욕주의적인 삶에서 구체화되기 시작했다. 이런 관행은 수도원의 주요 규례가 되었고, 사순절, 사계제일 등과 같은 전례에 의해 강조되면서 기독교 신앙 전통으로 유지되었다. 그러나 분파주의자들의 엄격한 육식 금지의 관행, 수도원 금욕주의의 완화, 종교개혁자들의 수도원 관행 비판 등의 요소들로 인해 기독교 신앙 전통에서 육식 금지의 식사 관행은 계승되지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육식 금지를 근간으로 하는 기독교의 채식주의 전통은 동물 복지와 사회 질서유지의 차원에서 사회윤리적 담론을 포함하고 있으며, 현대 사회에 서 이러한 기독교 식생활 관행을 성찰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 특별히 채식이 기후변화의 위기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적인 식단으로 강조되고 있는 21세기에, 기독교는 채식주의 전통에 내포된 생태윤리적인 담론을 성찰하여, 그 실천 적 지혜를 계승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nature of Christian vegetarianism based on historical research on the Christian vegetarian tradition and to examine the socio-ethical discourse implied in the dietary practice. The tradition of prohibiting meat in Christian dietary practices began with the ascetic lives of monks. This practice became the main rule of the monastery and was inherited as a Christian dietary tradition, emphasized by precedents such as Lent and Ember days. However, due to factors such as the strict prohibition of eating meet by the sectarians, the moderating of monastic asceticism, and the criticism of the monastic practices by religious reformers, the dietary practice of carnivores was not inherited in the Christian religious tradition. Nevertheless, Christian vegetarian traditions based on the prohibition of meat include social ethical discourse in terms of animal welfare and maintaining social order. Therefore, it is meaningful to reflect on these Christian dietary practices in modern society. In particular, in the 21st century, when vegetarianism is emphasized as an alternative diet to solve the crisis of climate change, Christianit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inherit its practical wisdom by reflecting on the ecological discourse implied in the vegetarian tradition.

목차
Ⅰ. 시작하는 글
Ⅱ. 기독교 식생활 관행의 본질 이해
Ⅲ. 기독교 채식주의의 사회윤리적 담론 이해
Ⅳ. 맺는 글: 기독교 채식주의의 현대적 성찰을 제언함
참고문헌
Abstract
국문초록
저자
  • 이국헌(삼육대학교) | Kuk-Heon Lee (Sahmyook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