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15世紀明使臣朝鮮使行書畫交流一考 KCI 등재

Research on the Exchange of Calligraphy and Painting between the Envoys of the Ming Dynasty and Korea in the 15th Century

15세기명사신조선사행서화교류일고

  • 언어CHI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1509
  • DOIhttps://doi.org/10.35203/EACT.2021.11.9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700원
동방문화와 사상 (East Asian Culture and Thought)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동양학연구소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초록

본 논문은 朝鮮王朝實錄을 기초 자료로 삼아 15세기 명나라 사신의 서화 교류의 구체적인 발생 양상을 분류하여 정리하였고, 題畫詩및 題 跋⋅記文등 문헌 자료에 근거하여 서화 교류가 문학 교류⋅우호 외교⋅ 문화 수출 분야에 담당하였던 역할을 밝혔으며, ‘朝中文化交流史’ 및 ‘東 亞藝術史’의 각도에서 15세기 명나라 사신의 서화 교류의 특징과 의미를 고찰하였다. 우선, 15세기 朝鮮使行중 서화 교류의 구체적인 발생 양상은 주로 作 畫留書⋅禮物贈受⋅請書請畫세 가지로 분류된다. 일부 書畫에 능한 명나라 사신은 朝鮮을 방문하는 동안에 서화의 재능을 펼쳐 적극적으로 서화 교류에 나서는 동시에 조선 문인과 詩文唱酬를 진행하기도 하였다. 서화 교류의 결과물, 즉 그림과 글씨는 詩文唱酬의 대상이 되었고 한시는 당시 서화 교류의 형태를 기록하였다. 15세기 명나라 사신은 양국의 우호 관계를 증진하고 문화적인 공동체 의식을 강화하는 데 목적을 두고 서화를 선물하곤 하였다. 명나라 사신은 귀한 선물을 사양하면서 조선왕실에서 증여한 書簇⋅畫簇⋅法帖⋅書帖등 서화 선물을 흔연히 받 아드렸다는 기록도 서화 교류의 융통성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또한, 명나라에서는 조선 서화에 대한 생기면서 명나라 사신은 조선왕실에서 적 극적으로 조선 서화를 청탁하기 시작하였다. 15세기 명나라와 조선 간의 서화 교류는 보편성과 편의성을 가지고 있다. 詩文唱酬를 진행하는 데 참여 인원이 높은 문학적인 수준을 갖춰야 한다는 상황과 달리 서화 교류는 쉽게 접할 수 있는 교류 방식이라 할 수 있다. 따라 많이 배우지 못한 명나라 內史⋅少監도 禮物贈受⋅請 書請畫의 방식을 통해 서화 교류에 많이 참여하였다. 한편, 서화 자체의 특성(휴대성, 적당한 가격, 예민한 문자가 없음 등)은 선천적인 편의성을 가지게 되었다. 따라서 명나라 사신은 비공식적인 자리에서 친한 조선 관원에게 서화를 선물로 하여 우호 관계를 추진하면서 서로 부담이나 불편함을 느끼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朝⋅中문화 교류사’ 및 ‘동아시아 예술사’의 시각으로 볼 때 15세기 朝鮮使行중 발생한 서화 교류는 새로운 ‘畫題’⋅畫法을 도입 하여 15세기 조선 畫壇에 중요한 영향을 끼쳤고, 16~17세기 朝⋅明간 활발한 서화 교류의 성황을 위해 토대를 마련하였다.

本文以朝鮮實錄記錄為基本資料對15世紀明使臣書畫交流的具體樣相進行分類 整理, 結合題畫詩及題跋⋅記文等文獻資料, 探討書畫交流在詩文唱酬⋅友好外交⋅文 化輸出等領域所發揮的重要作用, 並從‘朝中文化交流史’及‘東亞藝術史’的角度考察 15世紀明使臣書畫交流的特徵和意義. 書畫交流方式(即發生樣相)的多樣性和靈活性直接決定了其在詩文唱酬⋅友好 外交⋅文化輸出等領域發揮的不同作用. 15世紀朝鮮使行中書畫交流的具體發生樣 相主要有作畫留書⋅禮物贈受⋅請書請畫三種. 書畫方面才情卓絕的文官在朝鮮使行過程中, 往往親自作畫留書, 積極參與書畫 交流. 這一類型的書畫交流往往伴隨詩文唱酬而發生, 書畫交流為詩文唱酬提供素 材, 而詩文唱酬又為還原書畫交流經歷提供了線索. 15世紀明臣使行中書畫贈受的 案例大多達到了書畫禮物在兩國外交中進互相友好, 強化文化認同的政治目的. 明 臣在推辭貴重禮物的同時大都將朝鮮王室所贈與的書簇⋅畫簇⋅法帖⋅書帖等書 畫文物欣然收下, 側面體現了書畫交流(流通)的不受時代局限的融通性和靈活性. 隨 著對朝鮮書畫了解的加深, 明朝使臣對海東名筆心生嚮往, 求畫⋅請書屢見不鮮. 書畫交流方式的多樣性決定了書畫交流具有普適⋅便宜的特徵. 相較於對參與 者文學修養⋅詩學水平都有較高的要求的詩文唱酬, 書畫交流的門檻較低, 不善書 畫的文官使臣或內史⋅少監也可以通過禮物贈受⋅請書請畫等方式間接進行書畫 交流. 另一方面, 由於書畫本身攜帶方便⋅價格適中⋅不具有敏感文字信息等特點, 使得其贈受⋅流通具有天然的便宜性. 明使臣選擇以書畫為禮物相贈時, 往往是在 非官方正式的場合贈與關係較為親密的朝鮮官員, 其贈受在增進友好關係的同時不 會給雙方帶來過多的負擔. 最後, 從‘朝中文化交流史’及‘東亞藝術史’層面來看, 15世紀朝鮮使行書畫交流的 意義主要體現在引入新的‘畫題’⋅畫法對朝鮮畫壇的風格產生重要影響和為16世 紀~17世紀朝⋅明書畫交流的盛況奠定基礎兩個方面.

Since the exchange of calligraphy and painting between the envoys of the Ming Dynasty officially began in the 15th century, the diversity and flexibility have directly determined the different roles in the fields of poetry, friendship and diplomacy, and cultural output. At that time, there were three types of painting and calligraphy exchanges among Korean envoys, namely, making painting and writing, giving and receiving gifts, applying painting and writing. Talented civil officials in painting and calligraphy would draw pictures and left books on their missions in Korea, then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exchange, which was often accompanied by the singing of poems and prose. In the 15th century, most of the cases were for the political purpose of promoting mutual friendship and strengthening cultural identity between the two countries. On the other hand, with the deepening of their understanding of Korean painting and calligraphy, the envoys of the Ming Dynasty were not only very fond of the gift given by the Korean royal family, but also yearning for the famous Haidong brush, so it was common to ask for paintings and books at that time. The diversity of communication modes of painting and calligraphy determines the universality and cheapness. Compared with the poetry and prose singing, which have higher requirements on participants' literary accomplishment and poetics level, the communication threshold of painting and calligraphy is lower. Civil envoys who are not good at calligraphy and painting can als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directly by giving them books and drawings as gifts. On the other hand, the particularity of painting and calligraphy itself makes it naturally cheap to give and receive. When envoys of the Ming Dynasty chose calligraphy and painting as gifts, they often gave them to Korean officials who were close to them on unofficial and formal occasions, so the gift and receiving would not bring too much burden to both sides. Finally,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China cultural exchange history" and "East Asian art history", the significance of the 15th century Korean envoys' painting and calligraphy exchanges is mainly reflected in the introduction of new "painting themes". The painting style had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style of Korean painting and laid the foundation for the flourishing exchange of calligraphy and painting between the 16th and 17th centuries in The Korean and Ming Dynasty.

목차
中文摘要
Ⅰ. 緖論
Ⅱ. 15世紀朝鮮使行書畫交流樣相
Ⅲ. 15世紀朝鮮使行中書畫交流特徵和意義
Ⅳ. 結語
<參考文獻>
<국문 요약>
Abstract
저자
  • 王亞楠(고려대학교 국제한국언어문화연구소) | 왕아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