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미국의 교정시설 COVID-19 대응 관련 한계 및 쟁점 KCI 등재

Failures and Issues Related to US Correctional Facility COVID-19 Respons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152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700원
矯正硏究 (교정연구)
한국교정학회 (Korean Society For Correction Service)
초록

이 연구는 국제인권법상 감염질환과 관련하여 회원국이 준수해야 하는 보건위생 규정을 살펴보고, 코로나 바이러스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해 수용자 집단감염과 사망이 발생한 미국 교정당국의 관련 쟁점들을 분석하여 그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찾을 수 있다. 첫째, 미국의 교정시설 과밀화는 수용자의 기본적 인권을 침해한다는 논란과 함께 코로나 감염을 확산시켜 지역사회의 안전을 위협하는 촉매제로 작용하였다. 둘째, 미국의 엄격한 무관용주의와 구금주의 모토가 수용자의 코로나 집단감염의 원인으로 작 용하였다. 셋째, 미국 교정시설의 응급의료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고, 그마저도 일관성을 갖지 못했다. 넷째, 연방교정국과 지방정부 및 보건당국의 코로나 대응이 체계적 일관성을 갖추지 못하였다. 다섯째, 법원과 보호관찰위원회 및 가석방심사위원회 등의 업무 중단, 즉 상황인식 부족이 교정시설의 집단감염에 악영향을 끼쳤다. 여섯째, 현행 첫번째단계법의 적용대상자에 대한 보다 명확한 기준과 지역사회 복귀지원프로그램 체제가 정비되어야 한다. 일곱째, 교정시설 수용자의 의료처우는 헌법상 국가부담 의무라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health and hygiene regulations that member countries must comply with in relation to infectious diseases under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and to draw implications by analyzing the relevant issues in the United States that caused the deaths of inmates from the corona virus mass infection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ollowing implications can be found. First, the overcrowding of prison in the United States acted as a catalyst for threatening the safety of the community by spreading Corona infection along with the controversy that it violates the basic human rights of prisoners. Second, the strict zero-toleranceism and detention motto of the United States acted as the cause of the corona mass infection of prisoners. Third, the emergency medical system in US correctional facilities did not work properly, and even that was inconsistent. Fourth, the response to the corona virus by the Federal Bureau of Corrections and local governments and health authorities was not systematically consistent. Fifth, the suspension of work of the court, probation committee and parole review committee, that is, lack of situational awareness, had an impact on group infection in correctional facilities. Sixth, the criteria for selection of parole recipients according to the current First Step Act should be made clearer, and the community reintegration support program system should be revamped. Seventh, it should be clearly recognized that the state has a constitutional obligation to bear the medical treatment of inmates in correctional facilities.

목차
▪국문요약
Ⅰ. 서 론
Ⅱ. 국제사회의 교정시설 감염질환 관련 준칙
Ⅲ. 미국 교정시설 COVID-19 대응 실태
Ⅳ. 미국 교정시설 COVID-19 대응 관련 한계 및 쟁점
Ⅴ.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허경미(계명대학교 경찰행정학과) | Huh Koungmi (Department of Police Administration in Keimyung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