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시성 유발부등시안에서 얼굴인식에 대한 ERP 변화
목적: 부등시안과 모노비전 상태의 중간거리 시각 인식 반응을 이해하고자 시각피질에서 발생하는 event related potentials (ERP) 변화를 확인하였다.
방법 : 15명의 젊은 성인(23.00±1.60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단안 시력 0.00 logMAR 이하, -2.00 D 미만의 근시안, -0.75 D 이상의 난시안, 0.50 D 이상의 부등시안, 조절력이 비정상적인자, 시력교정술을 받은 자는 제외하였다. 유발 부등시는 비우세안에 굴절교정도수에 +1.00 D, +2.00 D를 가입한 콘택트렌즈로 유발시켰다. 자극은 모니터에 무표정과 슬픈 표정의 얼굴 자극을 제시한 후 NeuroScan SynAmps 2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ERP를 기록하였고 초기 시각반응과 관련 있는 P100과 인식 반응과 관련 있는 N170의 amplitude와 latency 값을 추출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 단안 상태에서는 초기 시각반응에 속하는 P100 amplitude는 1.00과 2.00 D의 유발 부등시안에서 우세안보다 더 강하게 나타났고(p=0.030, p=0.020), 얼굴 자극을 인식하는 N170 amplitudes는 1.00과 2.00 D 유발부등시안에서 우세안보다 낮게 나타났다(p=0.010, p=0.040). 양안 상태에서 1.000과 2.00 D 유발부등시안의 N170 amplitude는 동등비정시안(isometropia)보다 작았고 (p=0.010) 자극을 처리하는 시간에 해당하는 N170 latency는 길었다(p=0.010).
결론 : 유발부등시 비우세안에서는 우세안보다 초기시각 반응이 더 강하게 나타나고, 인식에 필요한 시간은 길었다. 양안 상태에서 유발부등시는 동등비정시와 비교하여 초기 시자극은 차이가 없지만 인식과정에서 자극이 약하고 인식에 필요한 시간은 더 긴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부등시안의 시각인식 반응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모노비전의 시각인지 과정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Purpose : To understand the visual recognition responses in the anisometropia and monovision, we investigated event related potentials (ERP) changes in the visual cortex.
Methods : Fifteen young adults (23.00±1.60 yrs) were enrolled and exclusion criteria were included corrected visual acuity worse than 0.00 logMAR in each eyes, myopia < -2.00 D, astigmatism > -0.75 D, anisometropia > 0.50 D, abnormal accommodative amplitude, and any history of refractive or other ocular surgery. Anisometropia was induced in the non-dominant eye with contact lenses of additional +1.00 and +2.00 D power over the refractive power. The facial expressions of neutral and sad were displayed on the monitor as stimuli and ERP was recorded using NeuroScan SynAmps 2. The amplitudes and latencies at P100 and N170 associated with visual recognition in the induced anisometropia state were calculated and compared.
Results : Monocularly, in 1.00 and 2.00 D induced anisometropic eyes, the P100 amplitudes associated with the initial visual response were stronger and the N170 amplitudes associated with recognition response were weaker than dominant eyes (p=0.010, p=0.040, respectively). Binocular vision in the 1.00 and 2.00 D induced anisometropic eyes, the N170 amplitudes were weaker and the latencies of N170 were longer significantly compared with isometropia (p=0.010, p=0.010, respectively).
Conclusion : In the induced anisometropic non-dominant eye, the initial visual response was stronger than dominant eye. In the binocular vision of aniosmetropic condition,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initial visual stimuli, however, in the visual recognition process, the visual stimulus was weaker and the time for recognition was longer compared to the isometropic state.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visual perception of anisometropia and help to understand the visual response of monovision.